'실종자들 어디에'…고층 작업 중이었는데 지하서 1명 발견

외벽 붕괴로 반지하 형태 공간에 추락했거나 대피 중 사고 가능성
구조당국, 수색 범위 관련 현대산업개발에 CCTV 등 요청
광주 아파트 붕괴 사고 현장의 실종자 수색 작업이 나흘째 이어지고 있다.실종된 작업자들은 고층에서 작업 중이었던 것으로 추정됐으나, 지난 13일 지하 1층에서 한 명이 발견되면서 보다 면밀한 수색 범위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14일 당국에 따르면 전날 오전 11시 14분께 광주 서구 화정동 화정아이파크 붕괴 현장 지하 1층 계단 난간에서 남성으로 추정되는 1명이 발견됐다.

잔해더미에 매몰돼 사람의 일부만 보였으며 소방당국은 잔해를 치우며 접근하고 있다.사람이 발견된 지점은 지상층 밑으로 완전히 숨은 공간이 아닌 반지하 형태다.

따라서 외벽이 붕괴하면서 작업자가 이곳 난간으로 추락했거나 아래로 대피하던 중 사고가 났을 가능성이 있다.

작업자가 지하 주차장 입구나 아파트 동 입구 지붕 위로 추락해 낙하물과 함께 매몰됐을 수도 있다.
사고가 난 건물은 총 39층으로, 38∼23층의 양쪽이 수직으로 겹겹이 붕괴했다.

실종된 작업자 6명은 상층부인 28∼34층에서 창호, 소방 설비 공사를 맡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구조 당국은 23층 바닥면부터는 무너지지 않았고 계단실 역시 아래로 뻥 뚫린 구조는 아니라서 실종자들이 작업 도중 외부로 추락했거나 붕괴한 층 사이에 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수색을 하고 있다.다만 건물 내부에 끊어진 철선과 콘크리트 잔해 등 적치물이 많아 잔해를 치워가며 초음파, 열 감지기기 등을 이용해 수색 중이어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다.

구조 당국은 현재 진입이 가능한 구간, 동료 진술로 실종자들이 최근까지 담당했던 층 등에 대해 정밀수색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사고 당일 오후의 작업 위치와 인력 투입 상황을 정확히 특정하려면 시공사인 현대산업개발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한 상황이다.

작업자들은 평소 홍채인식을 통해 출·퇴근을 기록하며 실종자들도 이날 오전 7시를 전후해 출근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휴식 시간이나 점심시간에 잠시 나갔다가 다시 들어간 흔적 등이 누락될 수 있어 동료 증언, CC(폐쇄회로)TV 등을 자세히 확인해야 한다.

구조 당국은 현대산업개발 본사에도 출·퇴근 기록, CCTV 기록 등이 저장돼 있어 협조를 요청한 상황이다.지난 11일 오후 3시 46분께 광주 서구 화정동 화정아이파크 공사 현장에서 아파트 23∼38층 외벽 등 구조물이 무너져 내려 1명이 다치고 6명의 연락이 두절됐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