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옛 소련권 단속 박차…"타국 위기를 자국 기회로 이용"(종합)
입력
수정
카자흐스탄 내정혼란에 파병…벨라루스 접수 때와 판박이
소련 향수병?…"동유럽 '아랍의 봄' 우려해 독재 지원" 해석도 중앙아시아 최대 산유국인 카자흐스탄 전국 곳곳에서 새해 벽두부터 대규모 시위가 벌어지자 러시아는 지난 6일(현지시간) 카자흐스탄에 긴급히 공수부대를 투입했다. 국내 소요 사태에 해외 군대가 투입된 형국이다.
옛 소비에트연방(소련) 권역에 대한 러시아의 광폭 행보를 두고 서구에서는 예전 세력을 회복하려는 러시아의 욕구를 의심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미국 일간지 크리스천사이언스모니터(CSM)는 이날 '푸틴, 유럽에서 소련의 야망 회복'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옛 소련에서 독립한 국가들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푸틴 대통령은 최근 몇 년 동안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 등 구소련 국가들의 내정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2014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크림반도를 강제 병합했고,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동우크라이나 돈바스 지역의 친러 성향 반군을 암암리에 지원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규모 병력을 우크라이나 국경 지역에 배치함에 따라 서방 정보당국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임박했다는 분석까지 내놓고 있다. 러시아는 2020년 구소련 국가들인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이 전쟁을 벌이자 분쟁 지역인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에 약 2천 명의 평화유지군을 배치했다.
같은 해 벨라루스에서 장기 집권자인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의 6연임 부정선거 논란 때문에 시위가 수개월간 이어지자 공수부대를 배치하기도 했다.
푸틴 대통령은 벨라루스에 대규모 군사·경제 지원을 약속하고, 연합훈련을 명목으로 병력을 배치하는 등 전폭적 지원을 통해 루카셴코 정권을 떠받치고 있다. 이번 카자흐스탄 지원도 러시아의 실질적 국익 보호를 추진한다는 차원에서 2020년 벨라루스 상황과 기본적으로 비슷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더타임스는 카자흐스탄의 시위가 연료가격 급등과 함께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초대 대통령 세력의 장기집권에 대한 불만이 함께 터져 나온 결과라며 푸틴 대통령이 이를 보고 긴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나자르바예프 전 대통령은 지난 1991년부터 2019년까지 근 30년 동안 장기집권한 뒤 물러났으나 그 뒤로도 국가안보회의 의장직을 유지하고, '국부'(國父) 지위를 누리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현 대통령인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는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분류된다.
장기 집권을 이어가며 사실상 독재 체제를 구축 중인 푸틴 대통령 입장에서는 벨라루스나 카자흐스탄의 장기 독재 체제가 무너질 경우 2010년 중동 국가에서 확산했던 '아랍의 봄' 사태처럼 반정부 시위가 번질 수 있다고 우려하는 것이다.
여기에 러시아는 카자흐스탄의 바이코누르 우주기지를 제집처럼 이용하고 있고, 카자흐스탄 북부에는 상당한 러시아계 인구가 살고 있다.
카자흐스탄이 원유나 천연가스, 우라늄 등 대규모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것도 러시아가 지금 같은 체제에서 카자흐스탄이 안정되길 바라는 이유라고 더타임스는 설명했다.
막심 수츠코프 모스크바국제관계연구원(MSIIR) 국제학연구소장 대행도 러시아의 카자흐스탄에 대한 접근법을 영향력 확대 시도로 관측했다.
수츠코프 대행은 뉴욕타임스 인터뷰에서 "크고 강해 보이는 카자흐스탄과 같은 국가가 급속하게 혼란에 빠져든 모습이 충격"이라며 "우크라이나를 제외하면 동·서양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려 노력했던 구소련 국가들은 위기가 닥치면 러시아로 눈을 돌렸다"고 말했다.
그는 이 같은 추세를 고려하면 카자흐스탄의 이번 정정불안은 러시아가 영향력을 확대할 기회로 노릴 수 있는 심각한 위기로 간주된다고 설명했다.
다른 한편에서는 러시아가 카자흐스탄 소요 소태에 자국 군대를 투입한 상황은 오히려 딜레마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현재 러시아는 구소련권 국가들에 대한 서방의 영향력 확장을 억제하기 위해 우크라이나 접경 지역에 군사력을 증강하는 등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미국 CNN방송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둘러싸고 서방에 벼랑끝전술을 펼치는 과정에서 카자흐스탄 사태 때문에 집중력이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소련 향수병?…"동유럽 '아랍의 봄' 우려해 독재 지원" 해석도 중앙아시아 최대 산유국인 카자흐스탄 전국 곳곳에서 새해 벽두부터 대규모 시위가 벌어지자 러시아는 지난 6일(현지시간) 카자흐스탄에 긴급히 공수부대를 투입했다. 국내 소요 사태에 해외 군대가 투입된 형국이다.
옛 소비에트연방(소련) 권역에 대한 러시아의 광폭 행보를 두고 서구에서는 예전 세력을 회복하려는 러시아의 욕구를 의심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미국 일간지 크리스천사이언스모니터(CSM)는 이날 '푸틴, 유럽에서 소련의 야망 회복'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옛 소련에서 독립한 국가들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푸틴 대통령은 최근 몇 년 동안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 등 구소련 국가들의 내정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2014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크림반도를 강제 병합했고,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동우크라이나 돈바스 지역의 친러 성향 반군을 암암리에 지원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규모 병력을 우크라이나 국경 지역에 배치함에 따라 서방 정보당국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임박했다는 분석까지 내놓고 있다. 러시아는 2020년 구소련 국가들인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이 전쟁을 벌이자 분쟁 지역인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에 약 2천 명의 평화유지군을 배치했다.
같은 해 벨라루스에서 장기 집권자인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의 6연임 부정선거 논란 때문에 시위가 수개월간 이어지자 공수부대를 배치하기도 했다.
푸틴 대통령은 벨라루스에 대규모 군사·경제 지원을 약속하고, 연합훈련을 명목으로 병력을 배치하는 등 전폭적 지원을 통해 루카셴코 정권을 떠받치고 있다. 이번 카자흐스탄 지원도 러시아의 실질적 국익 보호를 추진한다는 차원에서 2020년 벨라루스 상황과 기본적으로 비슷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더타임스는 카자흐스탄의 시위가 연료가격 급등과 함께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초대 대통령 세력의 장기집권에 대한 불만이 함께 터져 나온 결과라며 푸틴 대통령이 이를 보고 긴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나자르바예프 전 대통령은 지난 1991년부터 2019년까지 근 30년 동안 장기집권한 뒤 물러났으나 그 뒤로도 국가안보회의 의장직을 유지하고, '국부'(國父) 지위를 누리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현 대통령인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는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분류된다.
장기 집권을 이어가며 사실상 독재 체제를 구축 중인 푸틴 대통령 입장에서는 벨라루스나 카자흐스탄의 장기 독재 체제가 무너질 경우 2010년 중동 국가에서 확산했던 '아랍의 봄' 사태처럼 반정부 시위가 번질 수 있다고 우려하는 것이다.
여기에 러시아는 카자흐스탄의 바이코누르 우주기지를 제집처럼 이용하고 있고, 카자흐스탄 북부에는 상당한 러시아계 인구가 살고 있다.
카자흐스탄이 원유나 천연가스, 우라늄 등 대규모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것도 러시아가 지금 같은 체제에서 카자흐스탄이 안정되길 바라는 이유라고 더타임스는 설명했다.
막심 수츠코프 모스크바국제관계연구원(MSIIR) 국제학연구소장 대행도 러시아의 카자흐스탄에 대한 접근법을 영향력 확대 시도로 관측했다.
수츠코프 대행은 뉴욕타임스 인터뷰에서 "크고 강해 보이는 카자흐스탄과 같은 국가가 급속하게 혼란에 빠져든 모습이 충격"이라며 "우크라이나를 제외하면 동·서양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려 노력했던 구소련 국가들은 위기가 닥치면 러시아로 눈을 돌렸다"고 말했다.
그는 이 같은 추세를 고려하면 카자흐스탄의 이번 정정불안은 러시아가 영향력을 확대할 기회로 노릴 수 있는 심각한 위기로 간주된다고 설명했다.
다른 한편에서는 러시아가 카자흐스탄 소요 소태에 자국 군대를 투입한 상황은 오히려 딜레마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현재 러시아는 구소련권 국가들에 대한 서방의 영향력 확장을 억제하기 위해 우크라이나 접경 지역에 군사력을 증강하는 등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미국 CNN방송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둘러싸고 서방에 벼랑끝전술을 펼치는 과정에서 카자흐스탄 사태 때문에 집중력이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