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명령한다면 복귀…젊은층 지지는 절대 못 가져온다" [종합]

이준석 "윤석열부터 저까지 모두 책임"
"젊은 세대 실망해 저주 퍼붓는 현실 자각"
"책임 회피한 부분 사과…선대위도 문제"
"바뀌어야 할 부분 말해주면 다 따를 것"
"대선 패배는 곧 당 해체…마음 모아야"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 사진=뉴스1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2030세대 지지 회복의 필요성'이라는 명확한 메시지를 던졌다. 그는 "윤석열 대선 후보부터 자신까지 당에 소속된 모든 사람이 바뀌어야만 한다"면서 "이번 대선에서 패배하면 당이 해체될 수 있다는 점만 생각해달라"고 호소했다.

이 대표는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우리 당은 대선이 시작하는 시점에서 지지율 10%P 이상의 우위를 갖고 선거에 돌입했지만, 현실은 그와 정반대인 결과를 곳곳에서 경험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그는 "이낙연 대 이재명의 빅매치라고 홍보하던 더불어민주당과 다르게 국민의힘은 훌륭한 대선 주자들이 조기에 입당하면서 공정하고 치열한 경선을 거쳐 윤 후보를 선출하는 것으로 잘 마무리됐다"면서 "그 경선을 통해 국민이 새로운 희망을 보았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지지율이 하락하는 기간 국민의힘의 대처는 너무 소극적이었다"며 "지지율 하락에 대해 윤석열 후보부터 저까지 각자의 위치에서 많은 노력을 하는 당직자들은 모두 책임감을 느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대선으로 가는 과정에서 뼈아프게 느껴야 할 지점이 있다"며 "국민의힘을 위해 온라인상에서 여론전을 펼쳐주던 젊은 세대가 일순간에 실망해 저주하는 얘기를 전파하는 현실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 사진=연합뉴스
이 대표는 2030세대의 지지 회복을 이루지 못하면 대선에서 패배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집중적으로 강조했다. 그는 "국민의힘이 기댈 것은 자발적인 젊은 세대의 참여다. 이번 선거에서 저는 당연히 서울시장 선거와 전당대회에서 경험한 파도가 민주당을 집어삼킬 것으로 예상하고 이를 타기 위한 체계적인 준비를 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유세차를 앱으로 준비해 국민 누구나 신청할 수 있도록 설계했지만, 지금은 이것을 오픈할 수 있을지조차 궁금한 상황"이라며 "젊은 세대가 유세차 연설 참여를 신청하지 않았을 때 이 자리를 메우러 들어올 연설자는 아마 우리가 지난 30~40년간 봐왔던 그런 모습일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어 "혹자는 '이준석이 2030세대를 인질 삼아 본인의 정치적 목표를 실현한다'고 얘기할지 모르겠다"며 "제가 경선이 아닌 방식으로, 공정하지 않게 인사권을 행사한 적이 있느냐"라며 자신을 둘러싼 오해를 반박했다.이 대표는 '당 대표 책임론'이 불거진 상황에 대한 잘못을 인정하는 한편 선대위가 변화해야 한다는 점을 함께 지적했다. 그는 "의원들에게 제 책임을 회피한 부분에 대해 사과한다"면서도 "거꾸로 묻고 싶은 건 지난 2~3주간 '이준석 대책위원회'라고 제가 조소적으로 표현한 (선대위의) 활동도 옳은 건 아니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원들이 의견을 모아 제 복귀를 명령한다면 지정해 준 그 어떤 직위에도 복귀할 것"이라며 "하지만 (의원들의 명령으로 복귀하는) 그 방식으로는 절대 우리가 대선 승리를 위해 확보해야 할 젊은 층의 지지를 같이 가져갈 수 없다"라고 강조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 사진=뉴스1
그는 "오늘 의총 자리에 젊은 세대의 눈이 쏠린 것을 알고 있다"며 "지금까지 모든 혼란에 대해 제게 많은 질책을 가해달라. 하지만 대선 승리를 위해 각자의 방식과 노력이 있다는 점을 앞으로도 기억하고 반영해달라"라고 호소했다.이어 "이준석이 바뀌어야 할 게 있으면 말씀해달라. 다 따르겠다"면서 "그 전에 당이 바뀌어야 하면 바꾸잔 얘기도 해주고 윤 후보에게 용감한 제언할 게 있다면 하면서 대선 승리를 위해 함께 싸워달라"라고 했다.

끝으로 "의원들 한분 한분은 대선에서 패배하면 당이 해체된다는, 오직 그것만 생각해달라"며 "우리가 단결해서 대선에 승리하겠다는 마음을 모아 당장 치고 올라갈 수 있는 그런 회의가 됐으면 좋겠다"라고 덧붙였다.

국민의힘은 이날 오전 의총을 열고 이준석 대표에 대한 퇴진 결의를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 이 대표는 오후에 의총 참석을 결정했으며 '공개' 형식으로 모두 발언을 진행한 뒤 '비공개'로 의원들과 토론을 벌일 예정이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bigzero@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