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는 코로나 치료제, 1월 도입 추진…54만2천명분 이상 확보

화이자 '팍스로비드' 30만+α, MSD '몰누피라비르' 24만2천명분 계약 마무리 단계
"구체적 물량, 도입시기는 식약처 긴급승인 일정과 연계해 발표"
정부가 24일 먹는(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를 내년 1월 말에는 국내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외 제약사와 도입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고 밝혔다.정부가 지금까지 최소 54만2천회분의 먹는 치료제를 확보했다.

고재영 질병관리청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먹는 치료제 도입 시기와 관련해 "당초 내년 2월 예정이었으나, 내년 1월 말에 가능하도록 긴밀히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구체적인 도입 일정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긴급사용 승인 일정을 확정하면 발표하겠다"고 덧붙였다.먹는 치료제는 코로나19 감염 초기 환자가 중증으로 악화하는 것을 막아주는 약으로, 코로나19 판도를 바꿀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다는 기대를 받고 있다.

정부는 앞서 치료제 40만4천만명분을 도입하기로 하고 해외 제약사들과 협상을 벌여왔다.

하지만 최근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가 급증하는 등 방역 상황이 나빠지자 추가 구매에 나선 상황이다.미국 화이자사와는 '팍스로비드' 7만명분에 대해 본계약 전 구매물량·공급일정 등 주요사항을 구속력 있는 문서로 명시한 '구매약관'을 체결한 데 이어 총 16만2천명분을 구매하는 방안으로 실무협의를 진행해왔으며, 현재는 총 물량이 30만명분 이상으로 늘어났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정부는 이미 밝혀드린 7만명분보다 훨씬 많은 30만명분 이상의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구매 협의를 진행해 왔고, 계약이 마무리 단계에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미국 머크앤컴퍼니(MSD)와는 '몰누피라비르' 24만2천명분에 대해 구매약관을 체결한 상태다.두 제약사와 합의한 물량은 최소 54만2천회분이며, 협상 결과에 따라 최종 물량은 더 늘어날 수 있다.

당국은 구체적인 도입물량과 시기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먹는 치료제 긴급승인 일정이 나오면 발표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