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바이오로직스, 'PD-1' 면역관문억제제 개발 국책과제 선정

2년간 임상개발 지원
와이바이오로직스는 면역항암치료제(YBL-006) 개발 프로젝트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의 2021년 2차 '신약 임상개발' 부문 신규 지원 과제로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YBL-006의 임상 2상 임상시험계획(IND) 승인과 임상 1상 진행 및 임상 2상 권장용량(RP2D) 확인을 목표로 2년 간 연구지원을 받게 된다.YBL-006은 와이바이오로직스가 개발한 'PD-1' 표적 면역관문억제제다. PD-1은 T세포 표면에 있는 면역관문 단백질이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올해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와 유럽항암학회(ESMO)를 통해 YBL-006의 임상 1상 중간결과를 공개했다. 현재 YBL-006에 대해 고정용량 투여 방법에서의 용량 확장과 내년 임상 2상 추진을 계획 중이다.

키트루다와 옵디보로 대표되는 PD-1 면역항암제 시장은 기존 의약품들의 적응증 확대 및 매출 신장, 신제품들의 등장으로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와이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품목허가를 받은 PD-1 기반 면역항암제는 고작 10종에 그치고 있다"며 "국내 기업이 개발한 제품은 전무해 개발 가능성 및 약물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국가신약개발사업단의 지원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PD-1 기반 국산 면역항암제가 탄생할 경우 그만큼 글로벌 시장에 끼칠 수 있는 영향력도 클 것"이라고 했다.

이번 사업은 YBL-006의 안정성과 내약성 검증을 위해 의료 인공지능(AI) 개발기업 루닛이 위탁연구개발 기관으로 함께 한다. 루닛은 올 상반기 AI 기반의 생체표지자(바이오마커) '루닛 스코프 IO'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해 YBL-006의 임상1상 용량증가 환자군(코호트) 중간 결과에서 종양침윤림프구 분석 결과를 전했다.

한민수 기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