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입원·지역화폐 의혹…野 '이재명 배후론' 총공세

"이재명 시장 시절 김사랑씨 정신병원 납치감금 고발"
"지역화폐 업체에 수익·인사특혜…대장동 구조와 흡사"

국민의힘은 8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의 성남시장 재직 시절 '정신병원 강제 입원' 논란을 다시 꺼내들었다. 이 후보는 과거 시장 권한 등을 활용해 친형인 고(故) 이재선 씨를 포함, 본인과 이해가 충돌하는 인사 다수를 강제 입원시켰다는 의혹을 받아 왔다.

당 이재명비리검증특위(위원장 김진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난 2017년 경찰에 연행돼 정신병원에 입원했던 시민운동가 김사랑 씨 사례를 거론하며 "납치감금사건"이라며 관련자들을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특위는 "김사랑 씨는 이 사건에 항의하며 경찰을 고소했는데 당시 고소사건을 담당해서 각하 처리했던 김모 경감이 이번에 은수미 성남시장에게 수사기밀을 넘겨주고 부정한 청탁을 한 혐의로 구속기소됐다. 경찰이 성남시장과 부패카르텔을 형성했다는 사실이 입증된 것"이라며 사건을 전면 재수사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위가 파악한 내용에 따르면 2010∼2018년 이 지사의 성남시장 재임 당시 행정입원 된 환자는 66명이다.

행정입원은 시장 직권으로 정신병원에 입원시키는 것으로, 사실상의 강제 입원이라는 게 특위의 설명이다. 특위는 "이 후보는 김 씨를 총 5회(형사 3회, 민사 2회) 고소한 적이 있다"며 "그 중엔 김 씨가 대장동 사업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명예훼손 했다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김 씨 정신병원 입원에 대해 "인권을 보호해야 할 경찰관들이 저지른 가공할 독직체포, 감금 혐의"라며 "누구의 사주를 받고 왜 이런 짓을 했는지 밝혀야 한다"며 고발 방침을 밝혔다.

아울러 성남시 행정입원 사례에 대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며 이 후보 본인을 향해서도 "떳떳하다면 전수조사에 응하라"고 촉구했다.
이 후보 공약인 지역화폐와 관련한 의혹 제기도 잇따랐다.

특위는 "지역 화폐업체에 낙전수입 등 특혜를 주다가 대장동 사건이 터지자 협약서를 수정한 사실이 보도된 적도 있다.

대장동과 구조가 매우 흡사하다"고 주장했다.

지역화폐 운영을 관리·감독하고 홍보하는 목적으로 설립된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경상원)에 이 후보의 측근이나 지지자들이 배치됐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국민의힘 양금희 의원실에 따르면 초대 경상원장 임모씨는 이 후보와 성남시청·경기도청에서 근무했으며, 이사장을 지낸 방모 씨는 이 후보 지지모임에서 활동 중이다.

이밖에 경영기획본부장과 팀장급 직원 5명 전원이 경기도청과 성남시청 출신이라는 게 양 의원의 지적이다. 초대 경상원장 임모씨는 시민운동가 김사랑 씨를 고소한 인물이기도 하다고 특위는 주장했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