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연구팀 "아베 졸속결정 초중고 휴교, 코로나 방지효과 없었다"

일본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초기인 작년 2월 전격 결정했던 초중고 일제 휴교 조치가 감염 확산 억제에 도움이 됐다는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작년 2월 27일 열린 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당시 총리는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한 달간의 초중고 휴교를 요청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아베가 전문가 자문이나 관계부처 협의를 거치지 않은 채 이마이 다카야(今井尙哉) 당시 보좌관 의견만을 듣고 즉흥적으로 결정한 것으로 드러난 이 방침은 커다란 논란을 일으켰다.

코로나19의 교내 전염 실태 등이 불분명한 상황에서 국민생활 전반에 파급될 영향도 제대로 살피지 않은 졸속 결정이었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이 때문에 일부 지자체는 가정에서 아이를 챙겨야 하는 학부모 부담 등을 고려해 중앙정부의 휴교 요청에 응하지 않기도 했다. 4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가쿠슈인(學習院)대가 미국 하버드대학 등 연구팀과 공동으로 전국 47개 도도부현(都道府縣·광역자치단체)의 절반을 조금 넘는 27개 지역에서 확보한 데이터를 근거로 초중고 휴교 기간이 포함된 작년 3~6월의 인구 대비 감염자 수를 비교해 분석했다.

그 결과 휴교를 시행한 지자체와 휴교하지 않은 지자체의 감염자 수에서 통계적으로 뚜렷한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일례로 지난해 3월 말부터 한 달간을 보면 감염자가 늘다가 다시 원래 수준으로 돌아간 추이가 양쪽에서 똑같았다고 설명했다. 이 분석 결과를 담은 논문은 지난달 27일 과학 전문지인 네이처 메디신 인터넷판에 게재됐다.

연구를 이끈 후쿠모토 겐타로(福元健太郎) 가쿠슈인대 교수(계량정치학)는 감염력이 강해진 델타 변이 출현 등으로 일제 휴교에 의한 감염 억지 효과가 당시와 지금은 다를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다만 학교가 문을 닫게 되면 아이들의 학습기회가 줄고 심신 발달에서도 영향을 미친다며 일제 휴교를 요청할 때는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