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70% "ESG 경영 도입때 정책적 지원 필요"

중견기업연합회 101곳 조사
준비수준은 60%가 '보통이상'
중견기업 10곳 중 7곳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도입에 따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인센티브 등 정책적 지원을 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14일 발표한 ‘ESG 경영에 대한 중견기업계 의견 조사’를 보면 중견기업의 78.2%는 ESG 경영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지난달 중견기업 101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ESG 경영 추진 동기는 ‘고객사 및 소비자 요구 대응’(42.6%), ‘ESG 규제 대응’(34.7%), ‘기업 이미지 제고’(12.9%), ‘투자자 요구 등 자금 조달’(4.9%) 순으로 나타났다. 준비 수준이 보통 이상이라는 답은 60.4%로 절반을 넘었지만 대응 조직을 갖춘 기업은 23.8%에 그쳤다. ‘이사회 전담기구 설치’ ‘사내 전담조직 설치’가 8.3%를 기록했고 ‘기존 조직 내 담당자 지정 및 업무 배정’이 91.7%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업무 및 비용 증가, 관련 규제 강화에 대한 걱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견기업들은 ‘업무 및 비용 증가’(47.5%)를 ESG 경영 추진의 가장 큰 걸림돌로 꼽았다. ‘모호한 ESG 개념 및 범위’(19.8%), ‘기관별 상이한 평가 방식’(17.8%), ‘ESG 관련 규제 강화’(12.9%) 등이 뒤를 이었다. 또 응답 기업의 70.3%는 기업의 부담을 완화해줄 제도적 인센티브, 공신력 있는 평가 및 공시 기준 확립 등 정책적인 지원 체계를 시급히 구축해야 한다고 답했다.

김병근 기자 bk11@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