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두진 건축가 "도시를 푸르게 하는 가장 빠른 방법? 옥상에 정원 가꾸세요"

Cover Story

황두진건축사사무소 소장
“옥상을 꾸미는 것은 도시를 푸르게 하는 가장 빠른 방법입니다.”

초록색 페인트, 녹슨 운동기구. 10년 전만 해도 우리가 흔히들 아는 옥상의 전형적인 풍경이다. 옥탑방이라면 평상이라도 있지만 쓸쓸한 공간이란 건 마찬가지다. 옥상을 꾸미는 것이 개인과 더불어 사회를 좋은 방향으로 이끄는 것이라 믿는 건축가가 있다. 황두진 황두진건축사사무소 소장(사진)이다.황 소장은 오랫동안 ‘무지개떡 건축’의 필요성을 주장해왔다. 무지개떡 건축이란 하나의 건축물에 주택, 상가, 공용공간 등 복합시설을 다채롭게 갖추는 형식을 말한다. 기존 도심은 주택용지, 업무용지 등 구역을 나눠 개발했고, 개인은 일과 취미생활 등을 하기 위해 매번 움직여야 했다. 반면 무지개떡 건축은 한 공간에 다양한 시설을 혼합해 개인의 가용시간을 늘릴 수 있다.

황 소장은 옥상도 이런 맥락에서 건물에 꼭 필요한 공간이라고 강조한다. 사람들은 가장 가까운 옥상을 두고 야외 공간을 찾아 주말마다 교외로 향한다. 옥상을 텃밭을 가꾸거나 카페 공간으로 활용한다면 먼 길을 떠날 필요 없이 넉넉한 야외 공간을 즐길 수 있다. 황 소장은 “옥상은 도심 어느 곳이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이라며 “우리 사회가 가진 큰 자원을 낭비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옥상을 꾸미는 것은 사회적으로도 큰 의미가 있다. 서울 시내의 옥상 면적은 서울 전체 면적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이 공간을 활용하기 시작하면 서울 하늘에서 바라본 도심의 시멘트 바닥들이 점점 푸르게 채워질 것이다. 황 소장은 “옥상을 꾸미기 위해 화단을 가꾸고, 그늘을 만든다면 도시 전체의 온도는 낮아질 것”이라며 “옥상 활용은 도시를 푸르게 하는 가장 빠른 방법”이라고 강조했다.황 소장은 국내에서도 옥상 공간을 활용하려는 흐름이 자리잡고 있다고 보고 있다. 삶의 여유를 찾게 된 사람들이 하나둘 야외 공간을 찾기 시작했다. 황 소장은 “2000년대 초반 경기 성남 정자동 카페거리가 유명해지면서 노천카페가 유행하기 시작했고, 이후 옥상 공간의 활용도 잦아졌다”고 말했다.

황 소장은 이런 흐름을 더욱 살리기 위한 옥상 설계 방법도 제시했다. 이를 ‘옥상마당’이란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옥상에 실내 공간을 같이 마련해 옥상을 실내의 연장선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황 소장은 “옛날 한옥이 실내 공간과 마당이라는 야외 공간이 공존했던 것처럼 옥상에도 실내 공간을 마련해야 자주 쓸 수 있다”고 말했다.

구민기 기자 kook@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