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WHO 조사팀에 초기 로데이터 제공 안해…마찰 빚어"

"원자료 제공 거부한 중국 측과 작은 마찰 있었다"
중국 우한의 화난 수산시장을 방문한 WHO 조사팀/사진=REUTERS
중국 당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기원을 찾으려는 세계보건기구(WHO) 조사팀에 초기 발병 사례들에 대한 미가공 원자료(로데이터)와 맞춤형 자료 제공을 거부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12일(현지시간) WSJ에 따르면 해당 자료는 코로나19가 중국에서 언제 어떻게 최초로 퍼지기 시작했는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들이지만 중국 측은 해당 자료에 대한 공개를 거부했다.중국 당국은 코로나19 발병 초기 단계였던 2019년 12월 우한에서 확인된 174건의 확진 사례에 관한 세부 자료를 제공해달라는 WHO 전문가들의 요청을 거절했다는게 WSJ측의 전언이다.

대신 중국 정부 관리와 과학자들은 해당 사례들에 대한 자체 분석과 광범위한 요약본만 제공했다고 WHO 조사관들은 밝혔다.

그러나 조사팀은 과거 시점의 사례를 살펴보는 역학조사의 한 방법인 후향성연구를 위한 로데이터에는 접근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이러한 연구는 코로나19가 중국에서 얼마나 일찍, 얼마나 광범위하게 퍼졌는지를 자체 분석할 수 있게 해주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중국이 이러한 데이터 제공을 꺼린 것은 코로나19 대유행의 기원을 찾는 과정에서 중국의 투명성 부족에 대한 국제사회의 염려를 키운다고 WSJ이 평했다.

WHO는 회원국들에 자료 제공을 강제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이번 조사에서도 중국 당국의 협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조사팀 일원인 테아 피셔는 로데이터가 없어 심층 분석을 수행하지 못했다면서 중국 측과 "때때로 감정이 격해지곤 했다"고 밝혔다.WHO 조사단을 이끌고 있는 피터 벤 엠바렉은 지난 9일 우한의 한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한바이러스연구소에서 코로나19가 발원했다는 증거는 없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소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코로나19 발원지로 지목한 곳이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의 코로나19 대응 전문가 패널인 량완녠 칭화대 교수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우한에서 발견되기 전에 다른 지역에서 먼저 전파됐을 가능성이 있다. 어느 동물에서 비롯됐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WHO 조사단은 지난달 14일 우한에 도착해 2주간 격리를 마치고 29일부터 본격 조사를 시작했다. 이들은 초기 환자가 입원했던 병원 2곳과 화난 수산물도매시장, 바이샤저우 농산물시장, 우한질병통제예방센터(CDC), 동물유행방지통제센터, 우한바이러스연구소를 방문했다.

김정호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