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유국 '백신 싹쓸이'…"북한 등에선 90%가 내년에도 못 맞아"

저소득·중하소득 67개국 제약사와 개별 구매예약 체결 못해
미국·캐나다·EU·영국·일본 등 12개국이 53% 차지
부유한 국가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싹쓸이한 탓에 저소득 국가 국민 90%는 내년까지 백신을 맞지 못한다는 분석이 나왔다.옥스팜과 국제앰네스티 등 국제단체들이 공평한 백신 분배를 위해 구성한 연합체 '피플스백신'이 9일(현지시간)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을 포함해 나이지리아, 에티오피아, 미얀마 등 저소득 67개국 국민 10명 중 1명만이 내년까지 코로나19 백신을 맞을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과학분석업체 '에어피니티'가 화이자-바이오엔테크와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옥스퍼드대 등 8개 제약사와 각국 정부가 체결한 백신 구매계약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한 것이다.

이들 67개 국은 지난달까지 제약사들과 개별적으로 백신 구매계약을 체결하지 못했고 선진국이 공여한 자금으로 개발도상국에 백신을 공급하는 '코백스 선구매공약매커니즘'(COVAX AMC)으로만 백신을 확보할 수 있는 처지다.코백스 AMC가 현재 확보한 백신 7억 도즈(1도즈는 1회 접종분)로 92개국(인구 32억명)이 나누어 써야 한다.

백신 부족은 선진국들의 선점에서 비롯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 캐나다, 유럽연합(EU), 영국, 스위스, 일본, 호주, 뉴질랜드, 홍콩, 마카오, 이스라엘, 쿠웨이트 등 12개 나라·지역은 8개 제약사 백신 53%를 선구매했다.이들의 인구는 전체의 14%인데 백신은 절반 넘게 가져간 것이다.

캐나다는 전 인구가 다섯 번씩 접종할 만큼의 백신을 선구매해뒀다.

특히 최근 영국에서 접종이 시작된 화이자-바이오엔테크 백신은 전량 부유국들이 선점했고 모더나 백신은 96%를 부국이 확보했다.그나마 아스트라제네카-옥스퍼드대는 백신의 64%를 개발도상국에 보내겠다고 약속했다.

전체적으로 내년까지 백신을 맞을 수 있는 인구는 세계인구의 18%에 그칠 것으로 분석됐다.

옥스팜은 "각국 정부와 제약사들의 긴급한 대응이 필요하다"면서 "화이자-바이오엔테크와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옥스퍼드대 백신개발에 50억달러(약 5조4천억원)의 공공기금이 투입된만큼 이들은 세계의 공익을 위해 행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