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 '선거의 여왕', 미 하원의원 당선…한국계 3명 의회 입성

미셀 박 스틸 후보, 선출직 5전 연승…LA폭동 계기로 정치 입문
영 김 후보까지 승리하면 한국계 의원 4명 탄생 쾌거
한국계 여성 미셸 박 스틸(한국명 박은주·65) 미국 공화당 후보가 연방 하원의원에 당선됐다.스틸 후보는 1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제48선거구에서 민주당 현역인 할리 루다 의원을 누르고 승리했다.

앞서 한국 이름 '순자'로 알려진 메릴린 스트릭랜드(민주·워싱턴주) 후보 당선과 앤디 김(민주·뉴저지주) 의원 재선 성공에 이어 스틸 후보가 미 의회 입성에 성공함으로써 한국계 당선자는 모두 3명으로 늘었다.

이와 함께 캘리포니아주 39선거구에서는 한국계 영 김(한국명 김영옥·57) 공화당 후보가 1위를 달리고 있어 이곳에서도 당선이 확정되면 한국계 하원의원 4명이 동시에 탄생하는 쾌거를 이루게 된다.뉴욕타임스(NYT) 개표 집계에 따르면 스틸 후보는 50.8% 득표율을 기록해 루다 의원을 1.8% 포인트 차로 제쳤다.

두 후보의 표 차는 7천300여 표로, 스틸 후보는 접전 끝에 승리를 거머쥐었다.
스틸 당선인은 트위터에 "힘든 싸움을 했고, 어렵게 승리했다"며 "유권자들의 지지에 더욱 겸손해지겠다.우리의 공동체를 위해 의회에서 봉사할 수 있게 돼 더없는 영광이다.

이제 일하러 가자"는 당선 소감을 올렸다.

루다 의원도 트위터에 글을 올려 "우리는 이번 선거에서 승리하지 못했다"며 "우리가 바라던 결과는 아니지만, 국민의 판단을 받아들이는 것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일"이라며 결과에 승복했다.이번 선거는 지난 3일 치러졌으나 우편 투표 집계가 늦어지면서 선거 실시 일주일 만에 결과가 나왔다.

캘리포니아주는 민주당 안방이나 다름없지만, 스틸 후보가 출마한 48선거구는 보수 유권자가 많은 오렌지카운티에 속해 있어 공화당 강세지역으로 분류된다.

공화당은 2018년 중간선거 당시 민주당의 '블루(민주당 상징색) 웨이브'에 밀려 48선거구를 내줬으나 이번엔 스틸 후보를 내세워 2년 만에 탈환했다.

서울 출생인 스틸 후보는 1975년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주해 페퍼다인 대학을 졸업하고 서던캘리포니아대학(USC) 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뒤 평범한 주부로 살았다.
그의 인생을 바꾼 것은 1992년 로스앤젤레스(LA) 폭동 사태다.

흑백 갈등 속에서 한인들의 삶의 터전이 송두리째 무너져내리고 한인타운을 지키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총을 든 한인들이 주류 언론에 의해 폭도로 매도되는 현실을 접한 그는 한인사회의 정치적 역량을 키우는 것이 절실하다고 판단했다.

이후 그는 캘리포니아주 공화당 의장을 지낸 남편 숀 스틸 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정치권에 입문했다.

그는 1993년 LA 시장에 출마한 리처드 리오단 후보 캠프에 참여했고, 리오단 후보가 당선된 뒤 LA시 소방국장, LA 카운티 아동 가족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스틸 후보는 한인 사회에서 '선거의 여왕'으로 통한다.

이번 하원의원 선거까지 합치면 5전 연승이다.

그는 2006년 한인 가운데 최초로 캘리포니아주 조세형평국 위원에 당선되며 선출직 공직자로 첫발을 내디뎠고, 연임에 성공했다.

이어 2014년 오렌지카운티 2지구 수퍼바이저(행정책임자) 선거에 출마해 당선됐고, 2018년 재선 고지에 올랐다.스틸 후보는 선거 홈페이지를 통해 "우리 가족은 더 나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품고 기회를 찾아 미국에 왔다"며 "내가 아메리칸드림을 이루는 축복을 받았듯이 미래 세대가 더 나은 번영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