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낙선에 실망했나…북한, 미 대선 결과에 '침묵'

북한이 미국 대선 결과가 나온 지 이틀째인 현재까지도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의 대통령 당선에 대해 침묵하고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북한이 미국 대선 결과가 나온 지 이틀째인 9일 오전 8시 현재까지도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의 대통령 당선에 대해 침묵하고 있다.

바이든 후보의 당선 소식이 전날 새벽 전해졌지만, 조선중앙통신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 조선중앙방송 등 관영 매체들은 물론 '우리민족끼리' 같은 대외선전용 매체들도 이에 관핸 보도하지 않고 있다.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공개 활동 소식도 전해지지 않고 있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21일 중국인민지원군의 6·25전쟁 참전 70주년을 맞아 평안남도 회창군 소재 중국인민지원군열사능원을 참배한 이후 19일째 공개 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

북한의 외부세계 관련 뉴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과 조류인플루엔자나 열대성 폭풍 피해 등을 소개하는 데 그쳤다.

북한 입장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낙선이 달갑지 않을 뿐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이 소송전에 나서겠다고 밝히는 만큼 결과를 더 지켜보려는 판단으로 풀이된다.북한은 과거에도 미국 대선 결과에 대해 신속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가장 빨랐던 사례가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당선된 2008년으로, 당시 당선 결과 확정 이틀 만에 "공화당 후보인 상원의원 매케인을 많은 표 차이로 물리쳤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오바마 대통령 재선 때에는 사흘 만에 논평 없이 사실만 전달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2016년 당선됐을 때는 이틀 만에 노동신문을 통해 보도했지만, 당선자 이름조차 보도하지 않은 채 '새 행정부'라고만 표현했다. 당시 노동신문은 "내년도에 집권할 새 행정부에 주체의 핵 강국과 상대해야 할 더 어려운 부담을 씌워놓았다"며 오바마 행정부를 비판하면서 새 행정부도 압박했다.북한은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지 못한 만큼 좀 더 신중을 기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간 북한 김정은 위원장을 '좋은 친구'라고 말해왔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승복 선언이 나올 때까지 대선 결과에 침묵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채선희 기자 csun00@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