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내버스 경영악화" 준공영제 앞두고 속앓이하는 청주시

코로나19 여파로 업체 6곳서 한 달 평균 20억원가량 적자
재정지원 증액 불가피…"이달 용역 결과 토대로 예산 편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여파로 내년부터 시행될 청주 시내버스 준공영제 예산이 대폭 늘 것으로 보인다. 준공영제는 시내버스업체 6곳의 운송 수입금을 공동 관리하면서 운행실적에 표준 운송원가를 적용해 수입금을 배분하고, 부족분은 시에서 지원하는 것이다.

시는 대신 노선 운영관리와 조정, 노선 신설 및 개편 등의 권한을 갖게 된다.

전국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버스 준공영제를 시행하기는 청주시가 처음이다. 시는 애초 준공영제 시행에 필요한 한 해 예산을 351억원으로 추정했다.

업계의 2018년도 회계자료 분석 등을 통해 예상한 금액이다.

하지만 코로나19 여파로 승객이 대폭 줄어들면서 업계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이다. 코로나19가 확산 이후 6개 업체의 적자 규모는 한 달 2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커진 적자를 시가 예산으로 메워야 하기 때문에 재정지원금도 그만큼 늘어날 수 밖에 없다.

청주시 집계 결과 지난달 시내버스의 하루 승객은 7만6천여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2만4천여명보다 39% 줄었다. 올해 봄 코로나19가 크게 확산했던 3월 승객 수는 6만4천여명으로 전년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기도 했다.

시는 이런 점을 고려해 지난 12일부터 시내버스 운행 횟수를 종전보다 40% 축소했다.

운행 횟수 축소와 별개로 시내버스 업계의 경영난을 덜어주고자 30억원을 지원하기도 했다.

문제는 코로나19 상황이 언제 끝날지 등을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는 점이다.

시 관계자는 13일 "코로나19 여파로 준공영제 시행에 따른 비용이 대폭 늘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지금과 같은 상황이 오래 이어질 경우 준공영제 관련 예산이 애초 예상치의 2배가량으로 치솟을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시는 이달 나올 '시내 공영버스 운송 원가 및 손실금 산정 용역' 결과를 토대로 준공영제 시행에 따른 예산을 편성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