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찬, 내로남불 비판...네이버 재직시 '포털 정치 중립', 의원되자 '포털 압박'

윤영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에게 질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포털 뉴스 편집권 개입"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윤영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과거 네이버 재직시절에는 '포털 중립을 지켜야 한다'는 취지로 발언한 것으로 확인돼 내로남불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10일 박대출 국민의힘 의원실이 확보한 '2013년 여의도연구원 주최 포털 뉴스의 공정과 상생을 위한 간담회' 자료에 따르면 당시 네이버 센터장이었던 윤 의원은 "네이버 뉴스는 특성 성향 또는 정파적 이해관계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편집할 것을 중요한 원칙으로 삼고 있다"며 "네이버 뉴스 편집자는 개개인의 정치적 성향과 이해관계 · 연고에 따른 서비스를 하지 않으며, 특정 정파를 비호하거나 배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뉴스 편집자들은 회사 외부나 내부의 타 부서와 뉴스 편집에 관한 개별적 커뮤니케이션을 하지 않는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윤 의원은 당시 네이버의 뉴스 배치 관련해서 정치 중립성 문제가 제기되자 "네이버의 뉴스 서비스는 사적으로 어떻게 할 수 있는 영역을 넘어섰다"며 "뉴스 서비스에는 이미 이용자들이 개입해 자정작용을 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네이버의 뉴스 서비스가 국내에만 있는 특수 서비스는 아니"라며 "전 세계적으로 비슷한 서비스가 있는데 정부나 정치권이 사업구조를 바꾸라고 권고하는 경우는 보지 못했다"고 정부 및 정치권의 경영 개입에 불만을 드러내기도 했다.

네이버 측에서 포털의 중립성과 경영 독립성을 요구하던 윤 의원이 국회의원이 되자마자 포털의 입장을 이해하기보다는 되려 공격에 나서 세간의 눈총을 받고 있다.

윤 의원은 지난 8일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이 진행되는 가운데 보좌관이 '주호영 연설은 바로 (포털 사이트) 메인에 반영된다'라는 메세지를 보내자 '이거 카카오에 강력히 항의해주세요'라고 답한 뒤 "카카오 너무하군요. 들어오라고 하세요"라는 내용을 보냈다. 포털 편집 중립성을 깨고, 민간기업에 갑질하는게 아니냐는 주장도 있다.이에 대해 정치권 관계자는 "최근 사태를 살펴보면 윤 의원이 네이버 시절 언론의 자유나 기업 경영의 탈정치화를 주장한 것은 자신의 신념이나 철학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소속 기관의 이익을 대변한 것에 불과했다"며 "현재 민주당의 이익을 위해 일하다가 소속을 옮기면 철새처럼 다른 주장할 것 아니냐"고 목소리 높였다.

이동훈 기자 leedh@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