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지환 차의과학대 교수팀, 헌팅턴병 특성 발현 세포주 제작

동물모델서 새로운 신경줄기세포주 구축 성공
국제학술지 9월호에 온라인 게재
차 의과학대는 의생명과학과의 송지환 교수(사진)팀이 기존 세포주보다 헌팅턴병의 병리학적 특성 발현이 8배 이상 빠른 새로운 신경줄기세포주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송 교수팀은 이번 연구에서 헌팅턴병을 유발하는 '돌연변이 인간 헌팅틴 유전자'를 보유한 마우스를 이용했다. 이 마우스의 발생 12.5일에 해당하는 배아 전뇌 (forebrain)로부터 신경줄기세포를 분리해 새로운 세포주를 확립했다.이 세포주는 기존 헌팅턴병 환자 유래의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신경세포로 분화시키는 경우보다 여러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헌팅턴병의 병리학적 특성인 돌연변이 헌팅틴 단백질의 발현, 세포 내 칼슘이온의 증가, 미토콘드리아의 막 전위 및 역동성 조절의 결함, 전기생리학적전압 응답 가변성 및 나트륨 전류 진폭의 감소, 유비퀴틴·프로테아솜 경로 및 자가포식 시스템의 결함 등이 기존 방식보다 잘 발현된다.

또 기존 방식이 헌팅턴병의 병리학적 특성이 발현되기까지 8~10주가 소요되는 데 비해, 이번 세포주는 1~2주밖에 걸리지 않았다. 신약 선별 등에 적용할 경우 개발일정을 7~8주 단축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 논문은 줄기세포 분야 국제학술지 '셀 프로리퍼레이션' 9월호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헌팅턴병은 대표적인 신경 퇴행성 유전 질환이다. 보통 35세에서 44세 사이에 발병하고, 15~20년 내에 사망에 이르게 된다. 무도증(몸이 의지와는 관계없이 흐느적거리듯 움직이는 증상)과 우울증, 치매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10만명당 5~10명 정도의 빈도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송 교수는 "이번 연구로 기존 세포주보다 헌팅턴병의 병리학적 특성을 잘 나타낼 뿐만 아니라 발현 시간도 8배 이상 빠른 세포주를 제작할 수 있어 신약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과 중소기업벤처부 및 아이피에스바이오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