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열 가다듬는 '통합당'…청와대 정면 겨냥

법사위 간사에 3선 김도읍
운영위원회 '저격수' 배치
사진=뉴스1
미래통합당이 국회로 복귀하면서 민주당과 청와대를 상대할 원내투쟁 진용을 정비했다. 2년간 활동할 상임위 배치표를 전면 새롭게 작성했다. 청와대와 사정기관, 외교·안보부처 등을 겨냥한 일명 '저격수'들을 전면에 포진시켰다.

통합당은 6일 국회 사무처에 103명의 상임위원 배정 명단을 제출했다. 국회 운영을 총괄하고 청와대를 담당하는 운영위원회에 저격수를 전면 배치했다. 운영위에 원내지도부와 가까운 원내부대표단을 주로 선임했던 관례를 없앴다.김도읍·김태흠·박대출 등 소위 '한방' 있는 3선 의원과 곽상도·김정재·이양수·신원식·조수진 등 공격력 있는 초·재선들을 앞세웠다.

통합당은 민주당이 상정을 추진하는 '일하는 국회법',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처장 후보자 추천위원회 운영규칙 개정안' 등을 운영위에서 저지하겠다는 방침이다.

법사위의 경우 검사 출신 3선 김도읍 의원을 간사로 내세웠다. 법사위가 향후 담당할 공수처와 특검까지 염두에 둔 포석이다.박지원 국가정보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있는 정보위에는 전문가들이 나섰다. 주 원내대표와 함께 3선인 하태경 의원을 간사로, 경찰청 정보국장 출신인 재선 이철규 의원, 박근혜 정부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을 지낸 외교관 출신 초선 조태용 의원이 이름을 올렸다.

주 원내대표는 전날 박지원 후보자에 대해 "국정원을 망치는 최악의 인사"라고 비판한 데 이어 이날도 "통일부 장관은 몰라도 국정원장이 남북대화하는 기관이냐"고 했다.

통합당은 자체 특위도 예고하고 나섰다. 하태경 의원을 위원장으로 인천국제공항공사 공정채용 태스크포스(TF)를 출범했고, 위안부 할머니 피해 진상규명 TF를 보강할 계획이다. 더불어 금융비리, 부동산 문제 관련 TF를 새로 꾸릴 방침이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