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인천공항 '채용 공정성' 논란에 "정부 노력의 결실"

황덕순 청와대 일자리수석이 14일 오전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차 비상경제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자료를 살피고 있다. 김영우 기자 youngwoo@hankyung.com
최근 논란이 일고 있는 인천공항 정규직 전환 공정성 문제에 대해 청와대 일자리수석이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차별을 해결하기 위한 조치"라는 입장을 밝혔다.

황덕순 청와대 일자리수석은 24일 JTBC 뉴스에서 이와 같은 입장을 밝혔다. 청와대 국민청원 등에서 인천공항공사의 1900여명 정규직 전환이 '취준생의 자리를 빼앗는다'고 논란이 되고 있음에도,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차별을 해결하는 게 더 중요하다는 판단이다.황 수석은 이번 인천공항 정규직 전환이 정부 노력의 결실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017년 5월 12일 인천공항에서 약속한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를 실현한 사례라는 뜻이다.

황 수석은 "(이번 사례는) 구의역 김군 사고나 서부발전 김용균 노동자처럼 비정규직 노동자가 보호받지 못하는 노동시장의 공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드러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황 수석은 이번에 전환하기로 한 1902명이 전체 비정규직 3000명 중 일부라는 점도 강조했다. 황 수석은 "2016년 2만1000명이던 공공기관 정규직 신규채용자가 2019년에는 3만3000명으로 늘었는데, 이는 비정규직으로 뽑았을 자리 상당수를 정규직으로 뽑은 정부의 노력이 반영된 결과"라고도 설명했다.문 대통령이 약속(2017년 5월 12일)하기 전 입사자와 후 입사자의 정규직 전환 전형이 다른데 대해서는 '아쉽겠지만 알고 들어온 것 아니냐'는 입장을 밝혔다. 문 대통령 약속 전 입사한 사람들이 정규직 전환 가능성이 높다며, 이후 입사한 비정규직에게서 불만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황 수석은 "5월 12일 이전 입사자는 정규직 전환 기회가 있다고 생각하고 입사한 것이 아니고, 이후 입사자는 그런 기회가 있다고 알고 들어온 것"이라며 "(5월 12일) 이후 입사자들이 아쉬울 수 있으나 2017년에 세운 기준에 따라 진행한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약속하기 이전 입사자는 '서류-인성검사-적격검사-면접' 전형으로, 이후 입사자는 공개경쟁으로 정규직 전환을 시행할 예정이다.

다만 황 수석은 국민이 제대로 이해하게 전달하지 못한 점에 대해서는 '정부의 잘못'이라고 말했다. 황 수석은 "국민이 충분히 이해하도록 이번 결정을 설명하는 과정이 부족했다면 정부의 잘못"이라며 "당사자 모두가 만족하지 못해도 최선을 다해 설득하겠다"고 밝혔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