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시산업진흥회 "전시·박람회 개최 시 방역비용 지원"

1개 행사 당 최대 500만원 지원
행사 현장 방역활동 강화 유도
이달 4~7일 대치동 세텍(SETEC)에서 열린 '서울경향하우징페어'를 찾은 관람객이 전시장 입구에서 발열검사를 받고 있다. 현장에서는 전체 관람객을 대상으로 실명제, 마스크 및 비닐장갑 착용, 발열검사 등 4~5단계의 방역조치가 이뤄졌다.
정부가 전국 15곳 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전시·박람회에 행사 당 최대 500만 원의 방역 비용을 지원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고사 위기에 놓인 전시업계와 각종 산업박람회 취소로 판로 확보 기회를 잃은 중소기업에 마케팅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조치다.

방역 비용 지원대상은 지난 5월부터 앞으로 개최를 앞둔 전시면적 2000㎡ 이상인 전시·박람회다. 전체 지원 예산은 총 2억3500만원. 1개 행사 당 방역비용의 50%를 최대 500만원 한도 내에서 지원한다. 지원금은 인건비를 제외한 마스크, 손소독제 등 소모품비, 열화상카메라와 구급차 등 장비임차비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여러 건의 전시·박람회를 여는 주최사는 최대 2개 행사까지 방역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다. 이번 지원은 다중이 모이는 행사라도 철저한 방역만 이뤄진다면 개최가 가능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지난 5월부터 최근까지 코엑스와 킨텍스, 벡스코 등에서 열린 10여 건 전시·박람회를 통해 이뤄진 방역 활동의 효과가 입증됐기 때문이다.

지난달 초 코로나 사태 이후 처음 열린 동아전람의 MBC건축박람회는 나흘 동안 4만 명이 넘는 관람객이 다녀갔다. 이달 초 수도권 확산 우려 속에 열린 치과기자재전시회, 정원·조경박람회, 서울경향하우징페어 등은 12만 명 이상이 행사장을 찾았지만 현재까지 단 한 건의 확진 사례도 나오지 않았다. 행사 현장에서는 입장객 실명제, 발열 확인 등 전시장 입구부터 4~5단계의 겹겹이 방역 프로그램이 가동됐다.

현장에서 방역 활동을 직접 확인한 참여기업과 관람객들 사이에서는 전시장 방역이 대형마트나 백화점보다 더 철저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평가가 쏟아졌다. "전시·박람회는 불특정 다수가 모이는 다중집합 행사와 다르게 봐야 한다"는 반응도 이어졌다. 전시업계는 그동안 정부를 향해 "전시주최사, 장치디자인, 서비스로 이어지는 산업 생태계 복원을 위해 융자 등 현금성 지원보다 전시·박람회를 재개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요청을 해왔다.

이선우 기자 seonwoo.le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