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운동' 강조한 정의연 "운동 방식 재점검"

서울 마포구 정의기억연대 사무실. 연합뉴스
회계부정 의혹이 불거진 정의기억연대가 그간의 운동 방식을 재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의 기자회견이 계기다.

이나영 정의연 이사장은 27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441차 정기 수요시위에서 "이용수 선생님의 기자회견을 안타까운 심정으로 지켜봤다"면서 이같이 밝혔다.이 이사장은 "마음이 아프고 진심으로 송구하다"며 "울분과 서운함의 뿌리를 모두 무겁게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30년 동안 투쟁의 성과를 이어가되 피해자들의 고통이 해소되지 않고 문제해결이 지연된 근본원인을 돌아보며 재점검하라는 뜻으로 받아들이고자 한다"면서 "식민지 여성인권 침해와 성폭력의 역사를 다시 한 번 환기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고 밝혔다.

이용수 할머니에 대한 비난을 멈춰달라고 호소하기도 했다. 이 이사장은 "무차별적 비난은 운동의 의미와 가치를 근본적으로 훼손하는 행위"라면서 "일본군 성노예제의 실태를 알리고 스스로의 존엄과 명예회복을 위해 함께 노력한 30년이란 세월을 후퇴시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수요시위를 주관한 전국여성연대는 "운동의 자성과 변화를 요구한 피해자의 목소리는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의 진실을 외면하는 사람들에 의해 가공돼 우리 곁으로 돌아왔다"면서 "화살은 평생을 헌신해 온 윤미향 활동가와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정의연 운동 자체에 대한 부정으로 향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