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기념식 열린 옛 전남도청…과거·미래 잇는 시공간으로

최후항쟁 역사적 장소…문 대통령 "오늘의 패배, 내일의 승리로"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40주년을 맞아 역사상 처음으로 옛 전남도청 앞 5·18 민주광장에서 열렸다.민주화를 외치며 군사 정권에 끝까지 저항하다 목숨을 잃은 시민의 숭고한 희생을 기억하고, 여전히 미완으로 남아있는 진상규명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데 5·18 민주광장은 부족함이 없었다.

기념식장은 이러한 의미를 담아 참석자들이 옛 전남도청을 바라볼 수 있도록 좌석이 배치됐다.

무대 역시 도청의 모습이 가려지지 않도록 열린 무대로 마련됐다.도청 본관 건물 옥상에는 대형 태극기가 내걸리며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한 획을 그은 역사적 장소로서의 의미를 더했다.

기념 공연도 옛 전남도청 건물을 활용해, 최후까지 도청을 지키며 계엄군의 총탄에 쓰러져간 시민군을 표현했다.

공연 참가자들이 도청 경비실로 쓰였던 건물과 본관 옥상에 올라 '님을 위한 행진곡'을 힘차게 불렀다.옛 전남도청과 5·18 민주광장은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10일간 이어진 5월 항쟁의 중심지이다.
항쟁의 마지막 날인 27일 전남도청에 남아있던 시민군은 진압 작전에 나선 계엄군과 최후 항쟁을 벌이다 목숨을 잃었다.

이때 생포된 사람들은 모두 군 당국의 가혹한 조사를 받아야 했고, 평생을 '살아남은 자'로서 죄책감에 시달려야 했다.계엄군의 집단 발포가 자행된 곳도 전남도청 앞이다.

민주화를 외치며 가두시위를 벌이던 시위대가 총으로 무장한 시민군으로 바뀌게 된 계기가 된 곳이다.

5월 21일 전남도청을 거점으로 삼고 있었던 계엄군은 그 앞에 모여있던 시위대를 향해 집단 발포했다.

수많은 시위대가 총에 맞아 사망하거나 다쳤지만 누가 발포 명령을 내렸는지, 최종 책임자는 누구인지 40년이 지나도록 밝혀지지 않았다.

전두환 등 당시 군 당국 책임자들은 '자위권을 발동한 것'이라며 발포 책임을 부인하고 있지만, 이 주장을 뒤엎을만한 결정적인 증거는 아직 드러나지 않았다.

특별법에 따라 최근 조사를 개시한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찾아야 할 구멍 난 진실의 퍼즐 조각이기도 하다.

5월 항쟁 당시 계엄군의 헬기 사격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전일빌딩도 옛 전남도청을 마주 보고 서 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2017년 전일빌딩 탄흔이 헬기 사격에 의한 것이라고 결론 내린 바 있다.

하지만 전씨는 자서전에서 헬기 사격을 목격했다고 증언한 고(故) 조비오 신부를 '파렴치한 거짓말쟁이'라고 했다가 사자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다.

당시 헬기 사격이 있었는지 여부가 재판의 쟁점이 되는 등 여전히 진상 규명이 필요한 사안으로 남았다.

이 외에도 계엄군의 민간인 학살과 진실을 은폐·왜곡하려고 했던 국가 폭력의 진상을 밝혀내는 것이 5·18진상조사위의 과제다.

전남도청은 2005년 10월 전남 무안군으로 이전한 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전시 공간으로 리모델링 되면서 별관이 훼손되고 탄흔이 제거되기도 하는 등 부침을 겪다 지난해 원형 복원을 시작했다.

기념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계엄군의 총칼에 이곳 전남도청에서 쓰러져간 시민들은 살아남은 이들이 더 나은 세상을 열어갈 것이라 믿었다"며 "오늘의 패배가 내일의 승리가 될 것이라 확신했다"고 말했다.이어 "산 자들은 죽은 자들의 부름에 응답하며 민주주의를 실천했다"며 "광주의 진실을 알리는 것이 민주화 운동이 되었고 5·18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위대한 역사가 됐다"고 평가했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