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정찰총국장·호위사령관도 교체…"친정체제 공고화"(종합)

통일부, '북한인물정보' 발간…"당정치국·국무위원 80% 이상 교체"
"김여정 소속부서 불명…개성특별시·선박공업성 신설"
대남·해외 공작 활동을 총괄하는 북한 정찰총국장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지근거리에서 경호하는 호위사령관이 모두 교체된 것으로 확인됐다. 통일부는 13일 2019년 이후 북한의 주요 인물 활동 및 신규인물(23명) 등을 추가한 '2020 북한 인물정보'와 '2020 북한 기관별 인명록'을 발간했다.

이 가운데 군부 인사로는 림광일(정찰총국장)과 곽창식(호위사령관), 김정관(인민무력상), 위성일(제1부총참모장) 등 4명이 기재됐다.

정찰총국장은 지난 2016년 김영철 당시 총국장이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에 임명된 이후 장길성(상장)이 맡아왔다. 통일부는 장길성에 대해 "2019년 해임(추정)"으로 표기했다.

림광일은 지난 2016년 1월 총참모부 제1부총참모장 겸 작전총국장을 맡았던 인물로, 지난해 12월 열린 노동당 전원회의를 계기로 상장 진급과 함께 당중앙위 위원으로 승진했다.

곽창식은 이력이 거의 알려지지 않은 인물로, 림광일과 마찬가지로 지난해 말 당 전원회의를 계기로 상장 계급장을 달았고 당 중앙위 위원으로 올라섰다. 통일부는 호위사령관 교체가 지난해 4월 이뤄진 것으로 분석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지난 1년 사이) 당 정치국의 교체비율은 80% 가까이 되고 국무위원회 11명 중 9명이 교체돼 변동률은 82%"라며 "최근 들어 계속 세대교체가 이뤄지고 있고 실용주의 인사 패턴이 강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 친정체제가 공고화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통일부는 선전선동부에서 조직지도부로 자리를 옮긴 것으로 추정되는 김여정 당 제1부부장에 대해서는 '부장 및 부부장(소속 불명)'으로 분류하고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는 김조국과 조용원을 명시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김여정의 소속과 관련, 조직지도부나 선전선동부 소속 혹은 확인되지 않은 지위 등 세 방향으로 보고 있다면서 "계속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남북 당국 간 공식채널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위원장도 공석으로 남겨뒀다.

조평통 위원장은 리선권 전 위원장이 외무상으로 이동한 뒤 후임자 임명 여부조차 불분명한 상황이다. 통일부는 이 밖에도 북한이 기존 공업성을 더욱 세분화한 선박공업성과 개성특별시를 신설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