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사태로 3월 한 달간 200만명 일자리 타격 받았다"

박철성 한양대 경제금융학부 교수 분석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된 3월 한 달 동안 노동시장에서 일자리 타격을 받은 사람이 200만명에 이른다는 분석이 나왔다. 정부가 17일 발표한 ‘2020년 3월 고용동향’을 정밀 분석한 결과다. 정부가 이날 발표한 3월 고용동향에는 지난달 취업자가 작년 동기 대비 19만5000명 줄어든 것으로 나왔다.하지만 이는 코로나19가 노동시장에 미친 실제 충격에 비해 과소 추계된 수치라는 분석이다.

노동경제학자인 박철성 한양대 경제금융학부 교수는 “최근 3개월간 노동시장에서 취업자가 매월 50만명 가량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3월의 취업자 수 감소는 19만명이 아니라 약 70만명으로 봐야 한다”며 “코로나19가 불러온 노동시장의 충격이 예상보다 훨씬 크다”고 설명했다. 취업자수는 지난해 12월에는 51만6000명, 1월은 56만8000명, 2월에는 49만2000명이 각각 전년 같은 달에 비해 증가했다. 박 교수는 “고용 통계는 지난해 같은 달 수치와 단순히 비교하기 보다는 변화 추세를 감안해야 노동시장의 실제 모습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박 교수는 “코로나19로 취업의 기회를 얻지 못한 이들 70만명 이외에 취업자 중에서도 일자리의 질은 심각하게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주당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159만2000명이나 줄었다. 이들은 일시 휴직자 126만명 증가, 취업자 19만5000명 감소 등으로 이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이 일하는 시간이 줄어든 만큼 소득도 감소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번 달 고용통계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고용통계에서 소득 항목은 8월에 한 차례 조사되기 때문에 아직 정확한 수치를 알 수는 없다.

결국 코로나19 사태가 없었더라면 취업할 수 있었지만 취업기회를 잃은 70만명과 일시 휴직자 126만명을 포함할 경우 196만명은 코로나19로 일자리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는 경제활동인구 2779만명의 약 7.1%에 달하는 규모다. 3월은 코로나19 사태의 경제 충격이 막 반영되기 시작한 시점이다. 전문가들은 향후 코로나19 여파가 어느 정도까지 커질 지는 쉽게 가늠하기 힘들다고 설명하고 있다.

최종석 전문위원 jsc@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