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판 vs 권은희, 황운하 vs 김기현…21대 국회 '얄궂은 인연'

'국정원 댓글공작', '청와대 하명수사'로 악연 맺어
"이제는 외나무다리". 21대 국회에 입성할 당선인들이 확정된 가운데 일부 후보들의 '얄궂은 인연'이 입길에 오르고 있다.우선 서로를 법정에 몰아세우며 날을 세웠던 두 경찰 '선후배'가 재회를 피할 수 없게 됐다.

통합당 후보로 대구 달서병에서 당선된 김용판 전 서울지방경찰청장과 국민의당 비례대표 3번을 배정받아 재선을 확정한 권은희 의원이 주인공이다.

두 사람의 '과거'는 지난 2012년 18대 대선 국면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김 전 청장은 당시 대선을 앞두고 터진 국정원 댓글공작 의혹 사건에 대한 경찰 수사를 축소·은폐해 불법 선거운동을 한 혐의로 기소됐다.

이 과정에서 당시 수서경찰서 수사과장으로 사건을 맡았던 권 의원의 증언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여겨진다.

권 의원은 증인으로 출석해 '김 전 청장이 국가정보원 여직원의 컴퓨터에 대한 압수수색영장을 신청하지 못하게 했다'는 취지로 진술했다.그러나 김 전 청장은 2015년 1월 대법원에서 무죄 확정판결을 받았고 보수 단체의 고발을 접수한 검찰은 권 의원을 모해위증 혐의로 기소해 논란이 일었다.

이후 권 의원은 1, 2심 모두에서 무죄를 선고받고, 검찰은 상고를 포기했다.

검찰이 스스로 상고를 포기하는 일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애초부터 무리한 기소가 아니었느냐는 지적이 나왔다.둘은 법정 공방이 마무리된 이후에도 기회가 있을 때마다 해당 사건과 관련 서로의 입장을 강변하며 장외에서 불편한 관계를 이어왔다.

이른바 '울산시장 하명수사·선거개입' 의혹의 핵심 당사자인 더불어민주당 황운하(대전 중구), 통합당 김기현(울산 남구을) 당선인. 두 사람 역시 20대 국회 동시 입성으로 '외나무 다리'에서 맞닥뜨리게 됐다.

울산시장 하명수사·선거개입 의혹은 청와대가 송철호 현 울산시장의 당선을 위해 지난 2018년 재선에 도전한 당시 자유한국당(통합당 전신) 김기현 후보와 관련한 의혹 수사를 경찰에 '하명'했다는 것이 핵심이다.

울산지방경찰청장으로 재직 중이던 황 당선인은 당시 청와대의 하명을 받아 김 당선인 관련 측근 비리 수사에 드라이브를 걸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 공직선거법 위반 등 혐의로 기소된 상태다.

결국 울산시장 재선에 실패한 김 당선인은 본인이 하명수사·선거개입 의혹의 피해자라고 주장하고 있다.황·김 당선인은 총선 과정에서 '검찰 저격수', '황운하 저격수'를 각각 자처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