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한 의사 "코로나19, 고혈압 환자 사망 위험 가장 높다"

"우한 1월 사망자 절반이 고혈압 환자"
"기도삽관 빠를 수록 생존 확률 높아"
고혈압 환자들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사망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것으로 파악됐다. 코로나19의 발원지인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코로나19 중증환자를 치료해 온 의사들의 증언이다.

10일(현지시간) 중국내 최고 의료진 중 한 명이자 북경협화의대병원의 중환자실 책임자인 두 빈 교수는 미국 유력 경제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다른 의사들의 증언과 내가 직접 본 데이터들을 종합해본 결과, 모든 기저 질환 중에서 고혈압이 가장 위험 요소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빈 교수는 “아직 이를 공식적으로 뒷받침해주는 논문은 없지만 고혈압은 환자 상태의 악화를 초래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본다”며 1월 우한에서 사망한 170명의 환자들 중 절반 가량이 고혈압을 앓고 있었다는 사실을 짚었다.

그는 오히려 면역력이 취약한 어린이나 임산부가 상대적으로 코로나19의 영향을 덜 받는 것 같다고도 주장했다. 빈 교수는 “어린이와 임산부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경미한 증상을 경험하는 것 같다. 특히 감염된 어린이들이 집중 치료가 필요한 상태로 악화되는 것을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중증 환자들을 살리려면 환자에게 호흡곤란이 발생했을 때 신속한 기도삽관을 시행하는 것이 관건이라는 점도 지적했다. 빈 교수는 “침습적 인공호흡(기도삽관 등)을 필요로 하는 환자 중 거의 절반은 죽게 되지만 살아남는 환자들의 대부분은 침습적 인공호흡을 일찍 시작한 환자”라고 했다.이어 “환자는 가능한 빨리 침습적 인공호흡을 사용해야 하며, 늦게 하거나 망설여야 할 필요가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또 시중에서 코로나19 치료제에 대한 기대가 커지는 점에 대해 빈 교수는 “바이러스를 죽이고 임상 결과를 바꿀 수 있는 약이 존재하기를 바라지만 마법의 총알은 없다”며 “특히 중증 환자에게는 약물이 크게 도움이 되기 힘들다. 집중치료실의 전문의와 간호사 간 팀워크가 더욱 중요하다”고 전했다.

최근 중국, 일본에 이어 국내에서도 코로나19 완치 판정을 받은 뒤 재감염되는 사례가 등장해 우려가 커지는 점에 대해서는 “완치 후 항체가 그렇게 빨리 없어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큰 의미 없는 사례”라며 검사 방법이나 키트의 종류등에 따라 검사 결과가 오류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