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때문에 호흡 어려워도 고성능 마스크? "벗으세요"

"호흡곤란 생기면 바로 마스크 벗어야"
마스크보다 중요한 '거리두기'와 '손씻기'
서울시청 앞 서울도서관 외벽에 사회적 거리 두기를 위한 2주간의 '잠시 멈춤' 캠페인을 알리는 대형 현수막이 걸려 있다. 사진=강은구기자 egkang@hankyung.com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마스크 착용이 일상 풍경이 되어버렸지만, 호흡기 기능이 좋지 않은 사람은 마스크를 썼다가 오히려 병을 키울 우려가 있다.

5일 보건당국과 의료계에 따르면 폐 질환 등 지병을 앓는 이들은 의사와 상담을 거쳐 본인 상태에 맞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게 중요하다. 보건당국은 최근 일반인은 면마스크를 써도 된다고 마스크 사용 지침을 개정하면서도 기저질환자와 건강 취약계층(노인·어린이·임신부·만성질환자 등)에게는 여전히 보건용 마스크 사용을 권한다. 대한의사협회 등도 폐 질환, 면역계 질환 등 지병이 있는 사람과 노약자, 어린이 등은 코로나19 감염 위험을 막기 위해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하는 게 좋다고 권고해왔다.

보건용 마스크에는 KF80, KF94, K99 등급이 있다. KF는 '코리아 필터'를, 숫자는 마스크 필터가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정도를 의미한다. KF80은 0.6㎛(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크기의 미세입자를 80% 걸러낼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다.

KF94는 0.4㎛ 입자를 94%, KF99는 99% 차단하는 의료용 마스크다. 숫자가 높으면 차단 효과가 크지만 그만큼 산소투과율이 낮아 숨쉬기가 어려워진다는 단점이 있다.정은경 방역대책본부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N95(의료용), KF84, KF80과 같은 마스크는 상당히 호흡을 어렵게 만든다"며 "호흡기 기능이 안 좋은 분들, 특히 만성 폐 질환이 있는 분들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 자체가 호흡기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호흡곤란증이 생기면 바로 마스크를 벗으라고 권고한 바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어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들은 의사와 상의하시거나 상태에 맞게끔 마스크를 착용하시는 것도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보건당국은 코로나19 예방에 마스크 착용보다 '거리 두기'와 '손 씻기'가 더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정 본부장은 "일정한 거리 두기를 하면 상대방의 비말(침방울)이 나한테 올 가능성이 높지 않다"며 "더 중요한 것은 본인의 손이다. 손으로 눈코입을 만질 때, 마스크를 벗었다 썼다 하면서 다른 표면을 만지는 것도 상당히 위험하다"고 지적했다.그는 "마스크뿐만 아니라 다른 (외부) 환경들도 상당히 위험하기 때문에 손을 씻어서 손을 통해 바이러스가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게 훨씬 중요한 예방수칙"이라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