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입 차단에서 감염원 조기 발견으로…부산 대응기조 변경

부산시 "대구 확진자 접촉자 확인 안 돼"…확진 검사 적극 시행
선별진료소 확대하고 확진환자 발생 대비 즉각대응팀도 보강
지역사회 감염 확산 땐 부산의료원 전담 병원으로 운영
19일 대구·경북에서 13명이 한꺼번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자 지리적으로 가까운 부산도 비상이 걸렸다. 부산시는 이날 오전 시청에서 지자체장과 대형 병원장, 병원협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재난안전 대책본부 비상대책 회의를 열었다.

시는 우선 감염원 외부 유입차단과 접촉자 관리 중심이었던 코로나19 대응 기조를 지역사회 감염원 조기 발견과 치료로 변경했다.

먼저 호흡기 증상이나 폐렴 유사 증상을 보이는 의심 환자는 코로나19 검사를 받도록 적극적으로 유도할 예정이다. 코로나19 검사 대상을 확대해 감염원을 조기에 발견, 격리함으로써 지역사회 감염을 막겠다는 의도다.

대구에서 확인된 31번 확진 환자와 접촉한 부산 사람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고 시 보건당국은 설명했다.
시는 현재 33곳(보건소 16곳, 의료기관 17곳)인 선별진료소를 확대하기로 했다. 33곳 중 코로나19 확진에 필요한 검체 채취를 하지 않는 의료기관 7곳에 검체 채취를 하도록 권고했다.

확진 환자 발생에 대비해 즉각 대응팀도 보강했다.

시는 역학 조사관 6명 등 10명(2개 팀)으로 '현장 즉각 대응팀'을 만들었다. 즉각 대응팀은 확진 환자가 발생했을 때 해당 보건소 즉각 대응팀과 함께 확진 환자 동선 파악과 접촉자 수 확인과 접촉자 신원 파악 등을 맡는다.

부산시 산하 보건소에는 21개 팀, 109명 규모의 즉각 대응팀이 꾸려져 있다.

자가격리가 필요하지만, 가족 감염 등의 우려로 집에 머물 수 없는 의심 증상자가 생길 것에 대비, 2개 기관에 82실 규모의 격리시설을 마련했다.
확진 환자가 발생한 뒤 지역사회 감염이 현실화할 것에 대비한 대책도 나왔다.

부산대병원과 부산의료원에 있는 국가지점 음압격리병실(병실 내 압력을 낮춰 공기가 바깥으로 나가지 않게 한 병실) 50병상 외에 민간 병원에 있는 음압격리병실을 20병상 더 운용할 예정이다.

상황이 심각해지면 일반 병상을 100개 더 확보할 예정이다.

확진 환자가 늘어나는 3단계에는 부산의료원 병동 일부를 감염병 전담 병동으로 운용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기준 부산시 보건당국이 관리하는 감시대상은 58명으로 전날과 비교해 4명 줄었다. 부산 의료감시 대상은 엿새째 감소세를 보였는데, 자가격리 대상이 7명, 능동감시 대상이 51명이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