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온종일 신종코로나 기사만 보는 우리 아이…걱정입니다"

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자극적인 언론보도 노출 제한해야…불필요한 불안 느낄 수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확산하면서 소아·청소년이 가지는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심지어 아이가 온종일 신종코로나 기사만 찾아보거나, 부모가 신종코로나에 걸리면 어쩌나 걱정한 나머지 공부에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전언이다.

이런 아이들에게는 부모가 어떻게 도움을 주는 게 좋은지를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소속 전문가들과 문답 형식으로 알아본다.
-- 아이가 온종일 신종코로나 기사만 찾아보고, 그 이야기만 한다. 너무 과도한 것 아닌가 걱정이다.

▲ 어떤 아이들은 공포에 대한 조절력을 갖기 위해 정보를 찾고 예측하려고 시도한다.

두려움에 대한 자연스러운 시도로 이해하는 게 좋다. 다만, 자녀들이 언론에 과도하게 노출되는 것은 제한해야 한다.

감염병과 관련된 각종 매스미디어에 반복해서 노출되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 좋다.

인터넷에 퍼진 자극적이고 부정확한 정보를 지속해서 보면 불필요한 불안을 느낄 수 있어서다. 부모와 같이 뉴스를 보면서, 뉴스의 내용에 대해 함께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지는 건 바람직하다.

또한 자녀에게 건강한 모델이 되어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건강한 식습관과 충분한 수면, 운동이나 이완훈련 등 자신을 잘 돌보는 건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아이들도 이를 보고 따르게 하면 좋다.

손 씻기 같은 감염병 예방에 필요한 일반적인 지침을 찾고 실천하는 것도 필요하다.

-- 아이가 자기 전에 화장실에 자주 가고 짜증을 낸다.

부모가 신종코로나에 걸리면 어쩌나 하는 걱정을 표현하기도 한다.

▲ 소아·청소년 시기에는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이 어른과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연령별로 다른데, 미취학 아동은 주로 야뇨증이나 손가락 빨기, 낯선 이에 대한 공포, 공격성, 어른에게 매달리기, 짜증, 과잉행동, 감염병에 대한 반복적인 이야기나 반복놀이, 먹고 자는 습관의 변화, 설명하기 어려운 통증 등이 대표적이다.

초등학생은 등교 거부, 또래관계 어려움, 집중 어려움, 퇴행, 공격성 증가 등이 대체적인 반응이다.

사춘기 직전의 아동이나 청소년기는 대화를 거부하는 증상, 반항, 공격성, 이유 없는 통증, 위험한 행동, 집중곤란 및 학습장애 등이 나타난다.

이런 반응 양상은 어른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부모나 교사가 쉽게 알아채지 못할 수 있다.

만약 자녀가 걱정을 많이 한다면 이유를 묻고 자녀가 품고 있는 공포나 걱정, 잘못된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어린아이는 감염병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들의 수준에 맞추어 설명해주려고 노력해야 한다.
-- 감염에 노출될까 봐 아이를 밖에 내보내고 싶지 않은데 아이가 마스크도 쓰지 않은 채 나가려고 한다.

그래서 매일 집에서 아이와 전쟁이다.

어떻게 하면 좋은가.

▲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이들처럼 활동 수준이 높고 충동적인 아이들이나 또래 관계가 중요한 청소년들은 자연스럽게 감염병에 대한 걱정, 우려보다는 충동적인 욕구들이 우선시되기도 한다.

이때는 자녀와 공감하는 대화를 나누는 게 좋다.

일단 감염병으로 생기는 일상의 제약들에 대한 아이의 불만과 어려움을 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최근 감염병에 대해 자녀가 어떻게 알고 있는지 물어보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러면서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 불만 등을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해줘야 한다.

설명은 자녀가 이해할 수 있는 눈높이에서 침착하고 간단명료하게 하는 게 권장된다.

함께 정보를 찾아보거나, 생활 수칙들을 함께 정해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 아이가 감염병 확진자를 접촉해 격리됐다.

아이가 마음에 상처를 입을까 두렵다.

▲ 격리된 아동에게는 특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아이는 자신의 잘못으로 인해 격리된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격리 조치에 대해 정확하면서도 아이가 이해할 수 있는 말로 설명해 주고, 필요한 경우 고립감을 느끼지 않도록 해줘야 한다.

전화 등을 이용해 선생님이나 친구와 접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고, 일상생활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지도해 주는 게 좋다.

만약 심한 불안, 짜증, 행동 문제 등을 지속해서 보인다면 상담교사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등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 (도움말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신동원 이사장, 김은지 재난트라우마이사, 정경운 홍보이사)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