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방역망 뚫렸나…日 감염 '12번 환자' 2주간 국내 활보

'확진자 접촉' 자진 신고 전에 몰라
"日, 中에만 통보…지난달 19일 김포공항 통해 입국"
사진=연합뉴스
국내 12번째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확진자인 중국인이 일본에서 감염된 채 국내에 입국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국내 우한 폐렴 방역망에 구멍이 뚫렸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해당 환자가 스스로 '일본에서 확진자와 접촉했다'고 신고하기 전까지 보건당국이 입국 사실과 접촉 여부 등을 알지 못하면서 역학조사의 실효성에 의문이 나오고 있다.질병관리본부는 1일 12번째 확진자가 지난달 19일 일본에서 김포공항으로 입국한 중국 국적의 49세 남성이라고 발표했다. 이 환자는 경기도 부천시에 거주하고 있는데 역학조사 결과 일본에서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그가 일본에서 확진 환자와 접촉한 건 사실이지만 정확한 감염 통로는 확인하지 못했다. 무엇보다 지난달 19일 김포공항으로 입국한 후 이날 확진까지 약 2주간 보건당국 방역망 바깥에 있었다는 사실만 확인됐다.

정부는 해당 환자에 대한 정보를 일본으로부터 받지 못했다. 환자의 국적이 중국인 만큼 일본이 중국에만 확진자와 접촉했다는 사실을 통보한 것이다. 국제적인 감염병 위기 속에도 인접국 간 공조가 원활하지 않았다는 사실도 드러났다.중국 이외 국적의 외국인이 우한 폐렴에 감염된 채 국내에 들어와도 국내 방역망이 제대로 걸러내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우한 폐렴이 중국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상황에서 중국발 입국자만 확인해서는 우한 폐렴 확산을 막을 수 없다는 걱정이다.

중국에 한정됐던 방역망을 일본 등 우한 폐렴 발생 국가 전체로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우한 폐렴 발생국에서 들어오는 모든 인원을 검역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질병관리본부장는 다양한 상황을 논의 중에 있다는 입장이다. 다만 검역 대상을 지나치게 확대할 경우 의심 환자를 놓칠 가능성도 있다고 경계하고 있다.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사례정의를 어떻게 변경할지는 계속 논의 중이다. 다만 지나치게 리스크를 확대할 경우 오히려 진짜 의심 환자를 놓칠 수 있다"면서 "어느 정도 수준이어야 가장 적절한 그물망이 될지 고민 중에 있다"고 말했다.
'우한 폐렴' 생활감염 예방법'

KF80 이상 마스크 쓰고…꼼꼼히 손 씻어 '간접 접촉 전파' 막아야

기침할 때 옷소매로 코·입 가리고
불필요한 병원 방문 최대한 자제
감염 의심되면 1339로 신고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2차, 3차 감염 환자가 잇따라 나오면서 철저한 감염 예방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인터넷 등에 떠도는 잘못된 정보는 걸러내고 과학에 근거한 예방법을 준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공공장소에서는 기침예절을 잘 지켜야 한다. 질병관리본부는 기침할 때 휴지나 손수건보다는 옷소매로 코와 입을 가리는 것을 권고한다. 질본 관계자는 “휴지나 손수건은 잘 쓰지 않으면 침방울이 샐 수 있고 평소 휴대하지 않는 사람도 많다”며 “가장 쉽게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은 옷소매로 가리는 것”이라고 했다.

입에서 침방울이 분출되는 것을 막는 게 기침예절의 핵심이다. 기침을 하면 반경 2m까지 작은 침방울이 확산돼 바이러스가 퍼질 수 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환자가 재채기를 하면 바이러스가 있는 침방울이 눈, 코, 입, 피부에 묻을 수 있다”며 “바이러스가 눈, 코, 입의 점막에 붙으면 감염이 시작된다”고 했다.

손씻기는 간접 접촉 전파를 막는 데 필수다. 바이러스가 사람에서 사람으로 바로 옮겨가지 않고 중간에 사물을 거쳐 전파되는 것을 간접 접촉 전파라고 한다. 김 교수는 “손잡이, 의자, 컴퓨터 등 주변 사물에 바이러스로 오염된 침방울이 묻어 있을 수 있다”며 “침방울이 묻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면 감염되는 것”이라고 했다.

흐르는 물에 손을 적시고 비누로 30초 이상 손바닥, 손등, 손톱 밑, 손가락 사이를 비비며 씻어야 한다. 물로 씻기 어려울 때는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알코올 세정제를 들고 다니며 손을 소독해야 한다. 장갑을 착용해 손을 보호하는 것도 방법이다. 가능하면 손으로 눈, 코, 입 등을 만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외출할 때 마스크를 착용하는 시민들이 늘고 있는데 마스크를 올바로 착용해야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면으로 된 마스크보다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인증한 보건용 마스크를 쓰는 게 좋다. 전문가들은 0.6마이크로미터(㎛·1㎛=100만분의 1m) 크기의 미세입자를 80% 이상 차단하는 KF80 마스크면 충분하다고 설명한다.

김 교수는 “KF94, KF99 등은 KF80보다 더 작은 미세입자를 잘 차단하지만 일상생활을 하기 힘들 정도로 숨이 차기 때문에 현실적인 방법은 아니다”고 말했다. 자기 얼굴 크기에 맞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콧대 부분을 잘 조정해 얼굴과 마스크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외출 시 착용했다가 실내에 들어와 벗었다면 재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타인과 대화하다가 상대방이나 자신의 침이 마스크에 많이 튀었다면 새것으로 교체한다.물을 자주 마시면 감염병 예방이 도움이 된다. 호흡기 점막이 건조해지면 바이러스가 더 쉽게 침투할 수 있다. 병문안 등 불필요한 병원 방문을 최대한 자제하고 확진 환자가 다녀간 곳으로 보도된 장소를 다녀온 뒤 호흡기 증상이 있으면 질본 콜센터(1339)나 보건소에 신고해야 한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