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국내 우한폐렴 5~7번째 확진자, 75명 접촉…"확진자 상태 안정적"

신종 코로나 국내 12명 확진
접촉자 465명 감시, 70명 검사 중
사진=연합뉴스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일 오전 9시 현재 총 371명의 조사 대상 유증상자에 대해 진단검사를 시행했다고 밝혔다. 12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고, 289명은 음성으로 격리가 해제됐다. 70명은 검사를 진행 중이다.

확진 환자들의 상태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이며, 네 번째 환자도 안정적인 상태에서 폐렴 치료를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확진 환자 접촉자 465명은 지속 관찰 중이며, 이 중 3명이 환자로 확진됐다. 5번째 확진자(33·한국인 남성)의 접촉자는 현재까지 29명이 확인됐다. 이 중 지인 1명이 확진돼 서울의료원에 입원 중이다. 나머지 접촉자는 자가격리 등 조치 중이다. 5번째 확진자는 증상 발현 후 버스 등을 이용해 음식점 슈퍼마켓 웨딩숍 등을 방문했다.

6번째 확진자(55·한국인 남성)의 접촉자는 25명이다. 이 중 가족 2명이 확진돼 서울대병원에 입원 중이다. 증상 발현 후 교회를 방문했으나, 지난달 27일 3번째 확진환자 접촉자로 통보 받은 이후 자가격리 상태였다.

7번째 확진자(28·한국인 남성)는 21명과 접촉했다. 환자는 증상 발현 이후에는 주로 자택에 머물렀던 것으로 확인되며 추가 조사가 진행 중이다. 8번째 확진자(62·한국인 여성)는 지난달 21일 중국 우한 체류 중 근육통 증상이 발생했다. 증상 이후 방문한 장소 및 접촉자에 대해 조사 중이다. 9번째 확진자(28·한국인 여성)는 5번째 확진자의 접촉자다. 10번째와 11번째 확진자는 6번째 확진자의 가족이다. 이들은 10번째 환자 증상 발현 이후 함께 지인의 집과 미용실을 방문했다. 확진자들이 방문한 장소들에 대해서는 환경소독을 완료했다.
'우한 폐렴' 생활감염 예방법

KF80 이상 마스크 쓰고…꼼꼼히 손 씻어 '간접 접촉 전파' 막아야기침할 때 옷소매로 코·입 가리고
불필요한 병원 방문 최대한 자제
감염 의심되면 1339로 신고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2차, 3차 감염 환자가 잇따라 나오면서 철저한 감염 예방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인터넷 등에 떠도는 잘못된 정보는 걸러내고 과학에 근거한 예방법을 준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공공장소에서는 기침예절을 잘 지켜야 한다. 질병관리본부는 기침할 때 휴지나 손수건보다는 옷소매로 코와 입을 가리는 것을 권고한다. 질본 관계자는 “휴지나 손수건은 잘 쓰지 않으면 침방울이 샐 수 있고 평소 휴대하지 않는 사람도 많다”며 “가장 쉽게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은 옷소매로 가리는 것”이라고 했다.입에서 침방울이 분출되는 것을 막는 게 기침예절의 핵심이다. 기침을 하면 반경 2m까지 작은 침방울이 확산돼 바이러스가 퍼질 수 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환자가 재채기를 하면 바이러스가 있는 침방울이 눈, 코, 입, 피부에 묻을 수 있다”며 “바이러스가 눈, 코, 입의 점막에 붙으면 감염이 시작된다”고 했다.

손씻기는 간접 접촉 전파를 막는 데 필수다. 바이러스가 사람에서 사람으로 바로 옮겨가지 않고 중간에 사물을 거쳐 전파되는 것을 간접 접촉 전파라고 한다. 김 교수는 “손잡이, 의자, 컴퓨터 등 주변 사물에 바이러스로 오염된 침방울이 묻어 있을 수 있다”며 “침방울이 묻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면 감염되는 것”이라고 했다.

흐르는 물에 손을 적시고 비누로 30초 이상 손바닥, 손등, 손톱 밑, 손가락 사이를 비비며 씻어야 한다. 물로 씻기 어려울 때는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알코올 세정제를 들고 다니며 손을 소독해야 한다. 장갑을 착용해 손을 보호하는 것도 방법이다. 가능하면 손으로 눈, 코, 입 등을 만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외출할 때 마스크를 착용하는 시민들이 늘고 있는데 마스크를 올바로 착용해야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면으로 된 마스크보다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인증한 보건용 마스크를 쓰는 게 좋다. 전문가들은 0.6마이크로미터(㎛·1㎛=100만분의 1m) 크기의 미세입자를 80% 이상 차단하는 KF80 마스크면 충분하다고 설명한다.

김 교수는 “KF94, KF99 등은 KF80보다 더 작은 미세입자를 잘 차단하지만 일상생활을 하기 힘들 정도로 숨이 차기 때문에 현실적인 방법은 아니다”고 말했다. 자기 얼굴 크기에 맞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콧대 부분을 잘 조정해 얼굴과 마스크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외출 시 착용했다가 실내에 들어와 벗었다면 재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타인과 대화하다가 상대방이나 자신의 침이 마스크에 많이 튀었다면 새것으로 교체한다.물을 자주 마시면 감염병 예방이 도움이 된다. 호흡기 점막이 건조해지면 바이러스가 더 쉽게 침투할 수 있다. 병문안 등 불필요한 병원 방문을 최대한 자제하고 확진 환자가 다녀간 곳으로 보도된 장소를 다녀온 뒤 호흡기 증상이 있으면 질본 콜센터(1339)나 보건소에 신고해야 한다.

한민수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