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미·이란 갈등에 석유 수입 막히면 비축유 방출"

민간 합쳐 2억 배럴 비축…
"불확실성 커질 가능성에 대비해야"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이 석유·가스 수급 및 가격동향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석유·가스 수급 및 가격 동향 점검 회의를 개최하고 중동 정세가 악화돼 에너지 수급에 문제가 생길 경우 비축유를 방출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6일 오후 서울 종로구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주영준 에너지자원실장 주재로 석유·가스 수급 및 가격 동향 점검 회의를 개최했다. 미국과 이란의 갈등으로 중동 지역에서 전운이 고조된 탓이다.우리나라는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중동에서 원유의 약 70.3%, 가스 약 38.1%(추정치)를 도입했다. 중동 정세가 불안정해지거나 수송로가 봉쇄되는 등의 일이 발생하면 에너지 수급에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

국내 정유업계와 한국가스공사는 중동 지역 석유·가스시설이나 유조선 공격으로 인한 직접적인 공급 차질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현재까지 국내 도입에도 별다른 차질이 없는 것으로 파악했다고 밝혔다.

전문가와 업계 관계자들은 당장 큰 영향은 없겠지만, 향후 국제 석유·가스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어 대비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주 실장은 한국의 원유·액화천연가스(LNG) 수입에서 중동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만큼 업계와 함께 중동 정세와 국제 석유·가스 시장 동향을 계속 모니터링하고 국내 석유·가스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신속히 대응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관련 기관·업계와 석유수급·유가 점검회의를 꾸준히 개최하고 석유수급 상황실을 운영하면서 원유 수입, 유조선 동향 등 수급 상황과 국제유가, 국내 석유제품 가격을 매일 모니터링할 방침이다.

석유·가스 수급 위기가 실제로 발생할 경우 정부가 마련해놓은 비상대응체계가 신속히 작동할 수 있도록 점검도 강화하기로 했다. 비상대응체계는 자체 위기평가회의 개최, 비축유 방출, 석유 수요 절감 조치 등을 단계적으로 검토해 시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지난해 11월 말 기준으로 정부 9650만 배럴 원유를 비축하고 있다. 민간 비축유·재고를 합하면 2억 배럴 규모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