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이스라엘 가루로 만들겠다" 미국에 경고

미국의 반격 계획에 이스라엘 제2·3도시 표적 지목
중동 국가들, 사태 악화 우려에 '침묵'
이란이 미국의 재보복이 발생한다면 이스라엘 주요 도시들을 공격하겠다고 밝혔다.

이란 혁명수비대 장성이자 헌법기관인 국정조정위원회 사무총장인 레자에이는 5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만약 미국이 이란의 군사적 대응에 어떠한 반격을 한다면 이스라엘 하이파와 텔아비브는 가루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하이파는 무역·휴양·상공업 중심지인 이스라엘의 3대 도시이고 텔아비브는 국제법상 이스라엘의 수도이자 2대 도시다.

앞서 미군은 거셈 솔레이마니 쿠드스군(이란혁명수비대 정예군) 사령관을 드론 폭격으로 사살했고, 이란은 이에 대한 보복 공격을 다짐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 "이란이 미국인과 미국 시설을 공격할 경우 이란과 이란 문화에서 중요한 52곳을 신속하고도 강력하게 타격하겠다"고 트위터에 밝혔는데, 트럼프 대통령의 반격이 이뤄진다면 지지층인 이스라엘을 직접 공격하겠다고 경고한 것이다.

극단으로 치닫는 사태에 중동 국가들은 침묵을 지키고 있다. 섣불리 이란을 자극할 경우 종교적으로 분열된 지역 특성 탓에 상황이 더 복잡해질 것을 우려한 것으로 풀이된다.그동안 미국은 이스라엘과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이라크 등과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 이란은 시리아와 가자 지구의 무장 세력, 레바논, 시리아, 이라크, 예멘 등과 긴밀한 유대 관계를 구축했다. 이들 국가 사이에 충돌이 빚어질 경우 중동 사태는 걷잡을 수 없는 지경에 빠질 우려가 있다. 때문에 일부 미국 동맹국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제거 작전에 거리를 두면서 물밑에서 이란과 접촉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우디아라비아 정치사회학자인 칼리드 알다크힐은 "사우디아라비아를 포함해 걸프만 지역의 국가들은 침묵을 지키고 있다"며 "이 지역은 민감하고, 분열돼 있기 때문에 이란을 자극해 상황을 더 복잡하게 하고 싶지 않아 한다"고 설명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