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F·라임' 사모펀드 불신 고조…개인 판매 5개월째 감소

개인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사모펀드 판매가 5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KEB하나은행과 우리은행 등 은행의 사모펀드 판매가 크게 줄었다. 이는 은행을 중심으로 대규모 투자 손실을 가져온 파생결합펀드(DLF) 사태와 사모펀드 전문운용사 라임자산운용의 펀드 환매 연기·중단 사태 등으로 사모펀드에 대한 불신이 쌓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1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개인 투자자에게 판매된 사모펀드 판매잔액은 작년 11월 말 현재 24조1천억원으로 전월 말보다 6천억원(2.4%) 줄었다.

이로써 판매잔액은 작년 7월부터 5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이 잔액은 작년 6월 말 27조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뒤 감소세로 돌아섰다.

7월 382억원이 줄더니 8월 5천893억원, 9월 6천839억원 각각 감소했고 10월(-9천969억원)에는 1조원 가까이 급감했다.

7월부터 5개월 동안 2조9천억원 넘게 줄었다. 판매잔액이 7월을 기점으로 감소세로 전환한 것은 라임자산운용의 자전 거래를 통한 펀드 수익률 돌려막기 의혹 등이 제기된 데 이어 'DLF 사태'까지 터진 영향이 컸다.

특히 KEB하나은행과 우리은행 등이 주로 판매한 해외 금리 연계형 DLF에서는 대규모 투자 손실이 발생했고 이와 관련해 은행의 불완전판매 문제까지 제기됐다.

이런 영향으로 KEB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개인 투자자 대상의 사모펀드 판매가 급감한 상태다. KEB하나은행의 11월 말 현재 개인 투자자 대상 사모펀드 판매잔액은 2조2천억원으로 6월 말보다 1조원(32.2%)가량 줄었다.

우리은행은 11월 말 현재 판매잔액이 1조5천억원으로 6월 말보다 1조4천억원(48.2%)이나 감소했다.
이에 따라 사모펀드 판매에서 은행의 비중은 작아지고 있는데 비해 증권사는 확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은행의 개인 투자자를 비롯한 전체 투자자에 대한 사모펀드 판매잔액은 6월 말 29조원에서 11월 말 26조원으로 약 3조원(10.1%) 줄었고 그 결과 판매잔액 비중은 이 기간에 7.71%에서 6.49%로 하락했다.

반면 증권사 판매잔액 비중은 6월 말 81.94%에서 11월 말 82.62%로 상승했다.

당분간 개인 투자자들의 '사모펀드와 거리 두기'는 지속할 전망이다.

지난 10월 환매가 중단된 라임자산운용 무역금융펀드에서 투자금 손실 우려가 제기되며 불안감이 다시 고조되는 분위기다.

지난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투자자문사 인터내셔널인베스트먼트그룹(IIG)에 대해 가짜 대출 채권을 판매한 '폰지 사기' 혐의로 등록취소와 자산동결 조치를 했는데 라임자산운용 무역금융펀드에서 IIG의 헤지펀드에 투자했기 때문이다.

해당 무역금융펀드는 6천억원 규모로 운영 중인데 이 중 40%가량이 IIG 헤지펀드에 투자된 상태다.

금융감독원은 이와 관련, 조만간 라임자산운용을 사기 혐의로 검찰에 통보할 계획이다.

아울러 DLF 사태를 계기로 고위험 금융상품에 대한 은행의 판매가 일부 제한되는 등 사모펀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예정이어서 투자가 위축될 가능성도 있다. ◇ 개인 투자자 대상 사모펀드 판매잔액 추이
┌────────────┬────────────────────────┐
│ 월말 │ 개인 대상 사모펀드 판매잔액(억원) │
├────────────┼────────────────────────┤
│ 11 │ 241,120 │
├────────────┼────────────────────────┤
│ 10 │ 247,175 │
├────────────┼────────────────────────┤
│ 9 │ 257,144 │
├────────────┼────────────────────────┤
│ 8 │ 263,983 │
├────────────┼────────────────────────┤
│ 7 │ 269,876 │
├────────────┼────────────────────────┤
│ 6 │ 270,258 │
├────────────┼────────────────────────┤
│ 5 │ 262,566 │
├────────────┼────────────────────────┤
│ 4 │ 255,267 │
├────────────┼────────────────────────┤
│ 3 │ 247,254 │
├────────────┼────────────────────────┤
│ 2 │ 237,085 │
├────────────┼────────────────────────┤
│ 1 │ 231,572 │
└────────────┴────────────────────────┘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