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은 흰 쥐의 해…특별전 '쥐구멍에 볕 든 날'

국립민속박물관서 내년 3월 1일까지…강연회도 열려
새해가 채 열흘도 남지 않았다.2020년은 경자년(更子年), 흰 쥐의 해다.

쥐는 십이지에서 첫 자리를 차지하는 동물로, 방위의 신이자 시간의 신이다.

연말연시가 되면 십이지 동물을 조명하는 전시를 선보이는 국립민속박물관은 오는 24일부터 내년 3월 1일까지 기획전시실에서 특별전 '쥐구멍에 볕 든 날'을 연다고 22일 밝혔다.통일신라시대 쥐 조각상을 비롯해 쥐를 소재로 한 부적, 대나무 병, 그림 등 자료 60여 점으로 쥐에 관한 생태와 문화상을 조명한다.
전시는 1부 '다산(多産)의 영민한 동물', 2부 '귀엽고 친근한 동물'로 나뉜다.

1부는 우리 민속에서 쥐가 다산과 풍요, 영민과 근면을 상징하는 동물로 인식됐다는 점을 부각한다.쥐를 뜻하는 서(鼠) 자를 쓴 부적, 십이지 탁본, 불법을 수호하는 쥐 신장(神將) 등을 공개한다.

2부는 현대에 민첩하고 귀여운 이미지가 투영된 쥐의 모습을 보여준다.

톰과 제리 캐릭터를 그린 도시락, 십이지 캐릭터가 등장하는 만화 '요괴메카드' 장난감 등으로 전시 공간을 꾸민다.쥐띠 해에 일어난 일, 쥐와 관련된 속담, 생활에서 쓰는 쥐 관련 말들에 관한 인터뷰 영상, 쥐 모형 공예 작품도 선보인다.

박물관은 개막일인 24일 오후에 대강당에서 쥐띠 해 학술강연회 '서생원 납신다'를 진행한다.

김종대 중앙대 교수가 우리 문화 속 쥐에 관해 이야기하고, 김재호 과학칼럼니스트는 쥐의 생태학적 기원과 특징을 논한다.김형주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는 특별전 내용을 소개한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