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외무성 "북미관계 예민 국면…美, 인권까지 문제삼아" 반발

美국무차관보 '北 인권 관여' 발언 비난…대변인 기자문답으로 수위조절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21일 북미관계가 예민한 국면으로 치닫고 있는 시기에 미국이 북한 인권까지 문제 삼으려 한다며 반발했다.외무성 대변인은 이날 조선중앙통신 기자와의 문답에서 로버트 데스트로 미 국무부 민주주의·인권·노동 담당 차관보가 지난 19일 현지 언론에 '북한 인권 상황 개선을 위한 관여가 필요하다'고 밝힌 것을 언급하며 "유엔총회에서 반공화국 인권결의를 강압 채택시킨 것도 모자라 미국이 직접 나서서 인권문제를 가지고 우리를 걸고 들었다"고 비난했다.

대변인은 특히 "조미관계가 최대로 예민한 국면으로 치닫는 때에 이런 악담질을 한 것은 붙는 불에 기름을 붓는 격으로 가뜩이나 긴장한 조선반도정세를 더욱 격화시키는 결과만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데스트로 차관보를 향해서는 "쥐새끼가 짹짹거린다고 고양이가 물러서는 법은 없다"며 "입부리를 바로 놀려야 한다"고 경고했다.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데스트로 차관보의 발언은 지난 18일(현지시간) 유엔총회 본회의에서 북한인권결의안이 채택된 것에 따른 논평 요청에 대한 답변이었다.

데스트로 차관보는 "북한 내 인권 유린 상황에 대해 깊이 우려하고 있다"며 "북한 같은 인권 유린 국가들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관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변인은 이에 대해 "우리 제도에 대한 체질적인 거부감의 발로이며 우리 국가에 대한 엄중한 정치적 도발"이라며 "미국이 인권문제를 걸고들면서 우리 제도를 어찌해 보려 든다면 그 대가를 톡톡히 치르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이번 대변인 발언은 유엔총회 본회의에서 북한인권결의안이 통과되고 나온 북측의 첫 반응이지만, 이를 직접 비난하기보다는 데스트로 차관보의 발언에 초점을 맞췄다.

또 앞서 지난달 유엔총회 제3위원회가 북한인권결의안을 채택했을 때 외무성 대변인 명의 담화(11월 17일)를 통해 강하게 반발했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기자질답 형식을 취해 내용과 형식 모두 수위를 조절했다.

이번 입장은 북한이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특별대표가 동북아 순방을 계기로 제안한 회동에 불응한 채 이날 현재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나와 주목된다.연말 들어 미국을 향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카드를 흔들며 압박 수위를 높여온 북한이 비건 특별대표의 방한 이후 숨 고르기를 하면서 이달 하순 예정된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향후 대미 외교의 명확한 입장을 천명할 것으로 관측된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