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내년 성장률 2.4% 제시…나홀로 '장밋빛 전망'?

정부는 내년 우리나라가 2.4% 경제성장률을 달성할 것이라는 예상치를 내놨다.

정부는 19일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확대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2020년 경제전망'을 발표했다.우선, 정부는 내년 경제성장률(실질 GDP)을 2.4%로 추정했다. 이는 국내외 기관 전망인 2.3%보다 0.1%포인트 높고, 정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 2.0%보다 0.4%포인트 상향된 수준이다.

정부의 장밋빛 전망의 근거는 세계 경제의 회복 전망에 두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내년 세계경제 성장률을 3.4%로 점쳤다. 올해 3.0%보다 0.4%포인트 높게 전망한 수준이다. 세계교역도 올해 1.1%에서 내년 3.2%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세계 경제 회복에 반도체 경기도 살아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우리나라 경제도 동반 회복할 것이란 예상이다. 가트너 등 주요전망기관들도 내년 반도체 경기가 회복할 것으로 점쳤다. 이에 올해 부진했던 수출은 3% 성장으로 바닥을 딛고 일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수출은 10.6% 감소가 예상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회복세를 전망한 것이다. 민간소비도 올해 1.9%보다 0.2%포인트 높은 2.1%로 점쳤다.

경상수지 흑자폭은 수출 증가로 올해 580억달러보다 15억달러 늘어난 595억달러로 예상했다. 상품수지 흑자는 808억달러로 예상됐고, 서비스수지는 213억달러 적자를 기록할 전망이다.

투자도 반도체 경기 회복과 올해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설비투자는 올해보다 5.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IT업종 투자확대와 정보통신업종의 인프라 투자가 본격화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반면 건설투자는 주택건설 감소에 따라 내년에도 2.4%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민간소비는 올해 1.9%보다 상향된 2.1%를 기록할 것으로 점쳤다. 고용증가와 이전소득 증가로 소비여력이 늘어나고 외국인 관광객이 늘면서 소비가 활성화 될 것이란 관측이다. 임금상승률은 기업실적 부진으로 다소 둔화가 점쳐진다. 0%대 머물렀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내년 1.0%로 회복, 디플레이션 우려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내년 우리 경제가 2.4% 성장을 기록할 경우 사상 처음으로 3년 연속 2%대 저성장에 머물게 된다. 지난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2.7%에 그쳤다. 정부는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4~2.5%에서 2.0%로 하향 조정했다.

고용은 회복세 속에 다소 조정 국면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내년 취업자 수 증가는 연간 25만명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올해 취업자 증가 28만명보다 다소 감소한 수준이다. 이는 내년 생산가능인구가 23만1000명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취업자 규모는 줄지면 고용률은 올해보다 0.3%포인트 상승한 67.1%를 기록할 전망이다. 예상 실업률은 3.7%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