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남한에서 특사라도 보내달라고 간청했다"…대북 굴욕 외교 논란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초청 거절
북한 "가야 할 이유 못 찾아"
"형식뿐인 남북상봉 안할 것"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6월 30일 판문점 남측 자유의 집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회동을 마친 뒤 문재인 대통령 등과 함께 군사분계선으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북한이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초청을 거절했다고 밝혔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21일 "11월 5일 남조선의 문재인 대통령은 (김정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장께서 이번 특별수뇌자회의(특별정상회의)에 참석해주실 것을 간절히 초청하는 친서를 정중히 보내왔다"고 밝혔다.

이어 "남측의 기대와 성의는 고맙지만, 국무위원회 위원장께서 부산에 나가셔야 할 합당한 이유를 끝끝내 찾아내지 못한 데 대해 이해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특히 북한은 "문 대통령의 친서가 온 후에도 몇 차례나 국무위원회 위원장께서 못 오신다면 특사라도 방문하게 해달라는 간절한 청을 보내왔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 불참 이유에 대해서는 "판문점과 평양, 백두산에서 한 약속이 하나도 실현된 것이 없는 지금의 시점에 형식뿐인 북남수뇌상봉은 차라리 하지 않는 것보다 못하다"고 했다.

또 "종이 한 장의 초청으로 조성된 험악한 상태를 손바닥 뒤집듯이 가볍게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보다 더한 오산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이에 대해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문 대통령이 모친 서거에 즈음한 김 위원장의 조문에 대해 5일 답신을 보내 '특별정상회의에 김 위원장이 참석할 수 있다면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남북의 공동노력을 국제사회의 지지로 확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사를 표명한 바 있다"며 북한 주장이 사실이라고 인정했다.

김명일 한경닷컴 기자 mi737@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