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마한역사문화권 학술포럼…서삼석 의원, 국회서 주최

"전남도와 함께 마한 역사의 존재와 가치를 널리 알릴 것"
전남 영암군 지역에서 마한 시대 유적 발굴이 본격화된 가운데 마한 역사문화권의 역사적 가치를 평가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학술 포럼이 열렸다. 더불어민주당 서삼석(영암·무안·신안) 의원은 13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마한 역사문화권의 진흥과 지역발전' 학술 포럼을 개최했다.

이청규 한국 고고학회 회장이 좌장을 맡았으며 권오영 서울대학교 교수가 '법령제정을 위한 마한 역사문화권 성격과 그 가치'를 주제로 특별 강연을 했다.

2017년 기준 영산강 유역 8개 시·군의 '삼한·마한 문화재'는 38곳으로 전체 삼한·마한 문화재의 65.5%를 차지하고 있다. 삼한·마한 유적은 523곳으로 추정되는 등 많은 역사·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마한 유적(고분 452기)은 가야 유적(고분 494기)과 유사한 수량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발굴·조사·연구가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서 의원은 "영산강과 함께 꽃피워 온 호남 고대사인 마한은 우리 삶의 역사 그 자체"라며 "전남도와 함께 마한 역사의 존재와 가치를 널리 알리고 대표 발의한 특별법 통과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서 의원은 올해 6월 마한 역사문화권에 대한 종합계획·시행계획 수립, 연구기관 설립, 문화재보호 기금 지원 등을 내용으로 한 '마한 역사문화권 조사연구와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을 대표 발의했다.

법안이 통과되면 상대적으로 조사·연구가 부족했던 마한에 대한 종합적인 정책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