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규제에 혁신벤처 또 좌절…이번엔 '온라인 반값 환전' 폐업

은행 '기득권' 손 들어준 정부
그레잇, 핀테크사업 접기로
온·오프라인 연계(O2O)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들이 잇달아 사업을 접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규제환경을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로 전환하라고 각 부처에 주문했지만 혁신 스타트업들은 두터운 규제장벽에 가로막혀 좌절하고 있다.

핀테크(금융기술) 스타트업인 그레잇은 온라인 환전 서비스인 웨이즈를 오는 8일 종료하고 아예 사업도 접기로 했다고 3일 밝혔다.웨이즈 서비스는 지난해 5월 시작했다. 이용자가 미국 달러화, 일본 엔화, 대만달러화, 싱가포르달러화 등 10종의 외화 환전을 앱(응용프로그램)으로 예약한 뒤 집, 공항, 사무실 등 원하는 곳에서 수령하는 서비스다. 지점 운영비 등이 필요 없어 환전수수료가 시중은행보다 최대 50% 싸고, 24시간 환전 예약이 가능하다. 출시 1년 만에 누적 거래액 300억원, 가입자 10만 명을 넘어섰다.

그레잇은 지난해 4월 기획재정부가 외국환거래 규정을 개정하면서 온라인 환전사업자 자격을 얻었다. 그러나 인천국제공항에서 이용자에게 외화를 전달하다가 공항에 입주한 은행들의 항의로 서비스를 제지받는 등 고충을 겪었다.

그레잇은 또 이용자 범위를 내국인에서 외국인으로 확장하려고 했지만 관련 정부 부처들의 규제에 막혔다. 그레잇 관계자는 “정부는 해외송금 라이선스를 취득하라는 말만 반복했다”며 “기존 은행이 해왔다는 이유로 똑같은 요구를 했다”고 말했다.

김남영 기자 nykim@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