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혈시위' 이라크 총리 사퇴 수순…대통령 "조기총선 약속"

압둘-마흐디 총리, 사임 의사 밝혀…"후임 인선 전제"
시위대 "총리 사퇴는 해결책 일부…문제는 여당"
이라크 아델 압둘-마흐디 총리가 최근 경제 악화와 이에 따른 대규모 유혈 소요 사태에 책임을 지고 사퇴 의사를 밝혔다고 CNN, 로이터 통신 등이 31일(현지시간) 전했다.바르함 살레 이라크 대통령은 이날 알-이라키야(Al-Iraqiya) TV를 통해 중계된 연설에서 압둘-마흐디 총리가 후임자를 먼저 선정하는 조건으로 물러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압둘-마흐디 총리가 사임하는 데 동의했다"며 "다만 그는 '국정 공백을 막기 위해 각 정파가 수용 가능한 후임을 선정해 달라'고 요구했다"고 말했다.

살레 대통령은 또 새로운 투표법과 감독위원회가 정해지는 대로 조기 총선을 치르겠다고 약속했다.그러나 시위대는 이 같은 약속이 정치 개혁 요구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한 시위대 참가자는 "살레의 연설은 대중에게 마취제에 불과하다"며 "압둘-마흐디의 사퇴는 해결책이 아니고 해결책의 일부분이다.

문제는 여당"이라고 비판했다.앞서 시아파 성직자로서 유력 정치인인 무크타다 알사드르는 지난 29일 다른 정파에 압둘-마흐디 총리 불신임안에 대한 지지를 요구했다고 CNN은 보도했다.

의회는 압둘-마흐디 총리에게 청문회 출석을 요구한 상태다.

그러나 총리는 청문 과정이 TV로 중계될 경우에만 출석하겠다며 이에 반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고 AFP는 전했다.이라크에서는 실업과 정부의 부정부패, 전기·물 공급과 같은 기반 서비스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자 지난 한 달간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

이번 시위 사태는 지난 2003년 사담 후세인이 퇴임한 뒤 가장 큰 규모로서 200명 이상이 사망했고 수천 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도 바그다드에서는 30일 다수 인종과 종파가 참여하는 시위가 발생해 미국을 포함해 외국 대사관과 이라크 의회, 정부 부처가 있는 '그린존'(Green Zone) 안전지대까지 위협당했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이에 따라 제닌 헤니스 플라스하르트 유엔 이라크 특사는 31일 성명을 내고 "현재 이라크는 대화와 분열의 갈림길에 처해 있다"며 "폭력은 또 다른 폭력을 양산할 뿐이며 안정과 번영으로 이끌 수 있도록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경제통의 시아파 출신 압둘-마흐디 총리는 개혁을 앞세워 1년 전 취임했으나 공약 달성에 실패하면서 이번 사태가 촉발됐다.앞서 중동의 레바논에서도 왓츠앱 등 스마트폰 메신저에 대한 세금 부과를 계기로 촉발된 대규모 반정부 시위의 여파로 사드 하리리 총리가 지난달 29일 사퇴를 발표한 바 있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