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금감원 검사 직전 DLF 관련 내부자료 삭제

통계·대책회의 자료 등 사라져…금감원 "보안원과 포렌식 복구중"

하나은행이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판매에 대한 금융감독원 검사를 앞두고 관련 자료들을 삭제한 것으로 드러났다.금감원을 상대로 8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바른미래당 지상욱 의원은 "하나은행에 (검사)갔을 때 전산 자료가 삭제되지 않았느냐"고 물었다.

금감원의 실무 책임자인 김동성 은행 담당 부원장보는 "포렌식 요원을 투입해 복구 중이다.

퍼센티지(복구율)나 건수는 정확히 말할 단계가 아니다"고 밝혔다.금감원은 인력·장비가 없어 금융보안원 도움을 받아 포렌식을 진행 중이다.

금보원 측은 "정보 보호와 포렌식 등에서 극히 제한적으로 검사를 보조한다"고 설명했다.

지 의원에 따르면 하나은행의 DLF 관련 자료 삭제 정황은 금감원이 최근 중간검사 결과를 발표하고 나서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에 대한 추가 검사에 착수했을 때 파악됐다.삭제된 자료는 금감원 검사에 대비하기 위해 열린 내부 회의 자료, 판매 관련 통계자료 등이다.

삭제 시점은 금감원이 합동검사에 착수하기 직전인 지난 8월 초다.

지 의원은 "조직적으로 (자료를 삭제)했다면 검사 방해"라며 "우리은행은 성실하게 검사를 받는 반면, 하나은행은 자료 제출도 허술하고, 협조가 불성실하다"고 지적했다.윤석헌 금감원장은 "(검사 방해가 있다고) 그렇게 들었다"며 "그 부분에 대해서 검사도 더 하고, 법률 검토도 하고 있다"고 답했다.

하나은행은 지난해 '은행권 채용비리' 검사 때도 관련 자료를 삭제했고, 금감원은 금보원 도움을 받아 하나은행의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이를 복원해 비리를 밝혀냈다.

하나은행은 "현황 파악, 내부 참고용으로 보관할 필요가 없어 삭제한 것이다.검사 계획이 확정·발표되기 전에 이뤄졌다"며 '증거 인멸' 의도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