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교육 활성화 국회세미나 성료…"예산 증액·홍보 활동 필수"

기재부 "생애주기적 경제교육 시스템 구축 강화해야"
김정우·조승래 의원, 국회 차원 지원방안 모색
'경제교육지원법 제정 10년의 회고를 통한 경제교육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국회 토론회' 포스터. [사진=김정우 의원실]
경제교육단체협의회는 18일 전국 지역경제교육센터와 함께 '경제교육지원법' 제정 10년을 맞아 국회에서 세미나를 개최했다.

김정우·조승래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과 공동주최한 이번 세미나에는 구윤철 기획재정부2차관, 최정표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 등이 참석했으며 이윤철 한국경제교육학회장, 박형준 성신여대교수 등 경제교육전문가 그룹의 주제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2009년 제정된 경제교육지원법은 정부의 대국민 경제교육활성화를 위한 내용들을 담고 있다. 특히 법 제정 10년을 맞은 현시점에서 대국민 경제교육이 어떻게 이뤄졌는지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고 향후 경제교육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해 자리가 마련됐다.

구윤철 기획재정부 제2차관(경제교육관리위원회 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록펠러, 빌 게이츠 등 세계인구의 0.2% 밖에 안 되는 유대인이 노벨경제학상의 35%, 세계 100대 기업의 40%를 이끌 수 있었던 건 어려서부터 받았던 경제교육 덕분"이라며 "생애주기적 (Life- Cyclic) 관점에서 경제교육 시스템 구축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세미나를 공동 주최한 김 의원은 "4차 산업혁명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국민들이 올바로 대응할 수 있도록 경제교육을 더욱 활성화시켜야 한다"며 "이를 위해 경제교육 예산 증액은 물론 법 개정을 포함한 국회 차원의 지원 방안을 적극 강구하겠다"고 말했다.조 의원도 "경제교육은 국민들이 평생 경제활동을 하기 때문에 교육적으로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주제 발표는 박형준 성신여대 교수와 오영수 경북대 교수가 맡아 각각 '경제교육지원법 10년의 성과 및 향후 발전방안', '학교 밖 경제교육 실태와 개선방안'이라는 주제로 경제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박 교수는 "우리나라 경제교육이 활성화되려면 정부는 지원만 하고 민간이 앞장서는 구조를 확립해야 한다"며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경제교육지원법의 법적 구속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오 교수는 "전국 15개 지역경제교육센터는 지역의 경제교육 활성화에 기여했지만 여전히 인지도가 낮은 만큼 전국 단위의 홍보활동이 필수"라며 "지자체, 학교 등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센터의 예산 증대를 통해 지역의 만성적인 경제교육의 초과 수요를 해소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한편 이 날 토론자로는 심재학 KDI 경제교육실장, 이윤호 경제교육학회 회장, 김봉진 광주경제교육센터장, 남영화 미래한반도여성협회 회장 등 경제교육 전문가들이 나서 경제교육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