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A 2019] 박일평 LG전자 사장 "사무실도 내 집처럼…비결은 AI"

LG전자, 독일 IFA서 'LG 미래기술 좌담회' 개최
인공지능 브랜드 'LG 씽큐' 적용 제품 확대
아바타로 옷 입어 보고 쇼핑…'씽큐 핏' 첫선
박일평 LG전자 최고기술책임자 사장(사진=LG전자)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면 사무실도 자동차도 '내 집'처럼 편안해질 수 있습니다."

박일평 LG전자 최고기술책임자(사장·사진)는 유럽 최대 가전전시회 'IFA 2019'에 앞서 5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LG 미래기술 좌담회'에서 "LG전자의 AI 전략인 진화, 접점, 개방을 통해 미래에는 어디서든 내 집처럼 생활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박 사장은 좌담회에서 '어디서든 내 집처럼(Anywhere is Home)'이라는 주제로 LG전자가 그리는 AI의 미래상을 제시했다. 퀄컴의 유럽지역 기술담당 디노 플로레 부사장과 스페인 통신사 텔레포니카의 혁신연구소 최고혁신책임자인 모리스 콘티, iF 인터내셔널 포럼 디자인의 랄프 비그만 회장 등이 패널로 참여했다.

올해 IFA의 최대 화두이자 정보기술(IT)·전자업계가 심혈을 기울여 육성하는 산업인 만큼 좌담회에는 업계 관계자와 국내외 기자 등 300여명이 참석해 뜨거운 관심을 표했다.

박 사장은 "AI 제품은 지속적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진화한다. 사용하면 할수록 사용자를 더 잘 알게 되는 것"이라며 "LG전자는 제품의 AI가 지속적으로 진화할 수 있도록 가전에 최적화된 인공지능 칩을 개발했다"고 말했다.LG전자 인공지능 칩은 인간의 뇌 신경망을 모방한 인공지능 프로세서 'LG 뉴럴엔진'을 내장해 딥러닝 알고리즘 처리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스스로 학습하고 추론할 수 있는 '온 디바이스 AI'를 구현해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AI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품 내에서 개인정보에 해당되는 데이터는 안전하게 보호한다.

장소에 구애 없이 안락함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것은 AI의 '연결성' 덕분이다.

박 사장은 "스마트 TV, 냉장고, 자동차, 건물 등 주변의 모든 것이 접점으로 동작해 서로 소통하고 배우고 협업해 고객의 더 나은 삶을 만들어 나간다. 음성 명령 기반 AI가 새로운 가능성을 열기 위해서는 영상 지능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짚었다. LG전자의 비전 팩(Vision Pack)은 클라우드에 연결된 이미지센서로 영상 지능을 갖추고 있다. 비전 팩이 탑재된 LG 스타일러는 내부에 걸린 옷을 이미지센서로 파악, 클라우드로 데이터를 보낸다. 이후 클라우드가 데이터를 분석해 옷감에 최적화된 코스를 스스로 세팅(설정)한다.
(왼쪽부터)퀄컴 유럽지역 기술담당 디노 플로레(Dino Flore) 부사장, 스페인 통신사 텔레포니카社 혁신연구소 최고혁신책임자 모리스 콘티(Maurice Conti), iF 인터내셔널 포럼 디자인 랄프 비그만(Ralph Wiegmann) 회장
이날 LG전자가 처음 공개한 '씽큐 핏(ThinQ Fit)'은 보다 진화된 AI 기술을 담았다. 3D 카메라로 사용자가 옷을 입은 상태에서 신체를 계측해 사용자와 동일한 가상의 아바타를 생성한다. 직접 매장을 방문하는 번거로움 없이 아바타를 통해 옷을 입어볼 수 있고, 쇼핑도 가능하다. 어울리는 옷도 추천 받을 수 있다. 박 사장은 씽큐 핏으로 온·오프라인 의류 쇼핑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AI 브랜드 'LG 씽큐'는 적용 제품을 확대하기로 했다. 기존 LG 씽큐는 AI 가전·서비스에 국한됐지만 앞으로는 사물인터넷(IoT) 제품을 포함해 범위가 넓어진다. 제품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해 원격으로 클라우드 기반 AI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박 사장은 "LG 씽큐는 다양한 제품들과 연결돼 사용자를 보다 정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사용 환경과 맥락에 맞는 제품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AI 기반 생태계를 더욱 폭넓게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LG전자는 AI 생태계 확대를 위해 개방형 전략을 펴고 있다. LG전자의 AI 개발 노하우를 활용하게끔 LG 씽큐 플랫폼을 외부에 개방하고, 스마트TV와 디지털 사이니지(광고판) 등에 적용하는 독자 운영체제 웹OS의 소스코드를 공개하는 것도 모두 AI 생태계 활성화 노력의 일환이다.

LG전자의 가전 사전관리서비스인 '프로액티브 서비스'는 LG전자의 AI 전략인 진화·접점·개방을 모두 담았다. 박 사장은 "프로액티브 서비스를 오픈 솔루션으로 확대해 더 많은 업체에서 업그레이드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

퀄컴과는 차세대 자동차 기술 개발에 함께 힘 쏟을 예정이다. 이날 좌담회 패널로 참석한 디노 플로레 퀄컴 부사장은 "LG전자와 견고한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진화하는 소비자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차세대 자동차 기술을 함께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는 'IFA 2019'에서 AI 전시존인 'LG 씽큐 홈'을 마련해 거실과 서재, 드레스룸 등 각종 생활공간에 AI 기술을 탑재한 제품을 배치했다. 회사측은 "AI로 공간을 재정의해 고객의 새로운 경험을 이끌어낼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베를린=김은지 한경닷컴 기자 eunin11@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