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경기도 안좋은데"…日 보이콧·홍콩 집회에 여행 업계 '패닉'

여행사들 "일본 여행 수요, 80%감소"
홍콩도 '중국 무력개입'가능성 거론되며 수요 급감
국내경기침체·환율 상승에 '삼중고' 호소
사진=연합뉴스
국내 경기침체에 더해 일본 경제제재, 홍콩 대규모집회 등 해외발 악재가 겹치면서 여름 성수기를 기대하던 여행업계가 패닉 상태에 빠졌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7월 일본의 수출규제가 촉발한 일본 여행 보이콧으로 국내 주요 여행사들의 일본행에 급브레이크가 걸린 상황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일본 여행의 대체제로 각광받던 홍콩마저 대규모 집회로 인해 수요가 급감하면서 위기에 당면한 상황이다. 업계는 “일본행과 홍콩행 여행 수요가 급감한 데다 대체 수요 발굴도 어려워 그야말로 직격탄을 맞은 상황”이라며 “역대 최악의 위기”라고 평가했다.

주요 여행사의 일본 여행 수요는 일제히 격감했다. 하나투어는 8, 9월 예정된 일본 여행 수요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80% 줄었다.

모두투어는 8월 이후 신규 예약과 취소 건수를 합친 여행객 순증감 수가 일본의 경우 '제로(0)'라고 밝혔다. 9월 초 추석 연휴 일본 여행 예약 건수도 지난해 추석 연휴 때의 10분의 1 수준에 그치고 있는 상황이다.노랑풍선 관계자는 "일본 여행 예약 취소가 7월부터 늘다가 이제는 취소도 없고 신규 예약도 없다"며 "이미 빠질 만큼 빠져서 더 빠질 것도 없다"고 설명했다.

그나마 일본의 대안 중 하나였던 홍콩도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 시위 격화로 일촉즉발의 위기감이 감돌아 여행 수요가 급감하고 있다. 하나투어와 모두투어는 홍콩 시위가 본격화하면서 최근 홍콩 여행 수요가 예년보다 30% 상당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최근 홍콩국제공항 시위대 점거에 따른 항공편 무더기 결항과 중국의 무력개입 가능성까지 거론되면서 수요가 더욱 급감하는 상황이라고 업계는 덧붙였다. 노랑풍선은 9, 10월로 예약했던 홍콩 여행객들의 취소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고 밝혔다.이러한 상황에서 중국 항공 당국이 향후 2개월간 중국 전 노선에 대해 신규 취항을 받지 않겠다고 공지하는 등 대체 수요 발굴에도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상황이다.

2년 전 중국 '사드 사태' 때에는 국내외 전체적인 경기가 좋았던 덕분에 중국 여행 수요가 다른 곳으로 대체되면서 업계가 큰 타격을 입지 않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는 설명이 뒤따랐다.

업계는 특히 국내경기침체와 환율상승 등으로 인한 문제까지 겹치며 삼중고를 겪고 있다고 호소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