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자체의 '네이버 모시기' 경쟁, 기업유치 모범사례 만들어보라

네이버의 제2 데이터센터를 유치하기 위해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 60곳과 민간 사업자 58곳 등 118곳이 의향서를 제출했다. 부지 기준으로는 136곳에 달한다. 전국 시·군·구(226개) 가운데 4분의 1 이상이 유치전에 뛰어든 셈이다.

애초 경기 용인시 공세동에 지으려다 일부 주민이 전자파 발생 우려 등을 이유로 반발해 무산된 시설이다. 이후 지자체 수십 곳에서 유치 의사를 밝히자 네이버는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공개모집으로 전환했다. 부지 용도와 면적(10만㎡ 이상), 통신망 구성, 전력·상수도 공급량 등 구체적 조건도 제시했다. 그런데도 지자체들의 유치 신청이 쇄도한 것은 지역경제에 미칠 긍정적 효과가 크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건립비용만 5000억원이 넘는 대형 프로젝트여서 지자체는 추가 세수 확보와 일자리 창출, 지역경기 활성화 등을 기대할 수 있다.데이터센터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4차 산업혁명에 필수적인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설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정보기술(IT) 후방산업 효과도 예상된다. 네이버 AI 연구소를 함께 유치하기 위해 학교 부지를 제안한 대학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괴담 수준의 전자파 공포로 좌절된 사업이 지자체들의 열띤 참여 속에 다시 추진되는 것은 고무적이다. 네이버는 주민 반발과 행정처리 지연으로 사업이 무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인프라 요건에 내년 상반기 착공 가능 여부를 명시했다. 네이버의 이번 부지 선정 과정은 다른 기업은 물론 지자체들에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후보지 선정 여부를 떠나 지자체들이 기업 투자를 이끌어내기 위해 고민하고, 제도 개선 노력을 하는 것은 다른 기업을 유치할 때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