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주36시간 기준 취업자 2년 전보다 20만7000명 감소"

33만명 증가한 정부통계와 달라…단기 알바 등 늘어난 탓
전체 취업자 근로시간 모두 합한 고용총량, 4% 줄어

주 36시간 근로를 기준으로 보면 취업자 수가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다.취업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오는 정부 통계와는 상반된 결과다.

이는 단기 아르바이트나 임시 일자리가 많이 늘어난 여파로 풀이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주 36시간 근로 기준으로 취업자 수를 환산하면 5월 2천488만4천명으로 2년 전보다 20만7천명(-0.8%) 줄었다고 4일 밝혔다.작년 동월보다는 7만1천명(-0.3%) 감소했다.

이는 한경연이 성신여대 박기성 교수에게 의뢰한 '근로시간을 고려한 취업자 수 분석' 자료에 따른 것이다.

주 9시간 일한 경우 4분의 1명으로, 주 36시간 이상은 1명으로 간주하는 방식으로 분석했다.정부 발표 취업자수가 5월 2천732만2천명으로 2년 전보다 33만명 증가한 것과는 상반된 결과다.
한경연은 "통계상 취업자는 늘고 있지만, 단기 일자리 위주로 증가했다"면서 "주 36시간 이상 일한 취업자는 71만5천명 감소했고 주 36시간 미만은 100만5천명 늘었다"고 말했다.

가령 60대 이상에서 공식 취업자가 59만4천명 늘었지만 주 36시간으로 환산하면 36만3천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20대 이하는 공식 취업자가 4만8천명 감소했는데 주 36시간 환산시 10만8천명이 줄며 감소폭이 2배 이상 늘어난다.

30∼40대도 공식적으론 -37만명이고, 환산시는 -52만7천명이다.

산업별로 민간산업 분야에서 환산 취업자수가 올해 5월 2천79만 8천명으로 2년 전보다 40만 6천명 감소했다.

제조업(17만명), 교육서비스(10만명), 도소매업(9만6천명)에서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취업자의 주 근로시간을 모두 합산한 고용총량을 추정해보면 올해 5월 11억 2천792만2천 시간으로 2년 전보다 4천738만9천시간(-4.0%) 감소했다.박기성 교수는 "정부의 고용동향 발표에 주 36시간 이상 일자리 기준 환산 취업자수 등의 보조지표가 함께 제공되면 일자리 정책을 질적으로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양질 일자리를 만드는 데 더 힘을 쏟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