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안보·경제 돕겠다는 시진핑…북중 전략밀월 가속화

北 '든든한 후원자' 자처…한반도 질서재편 적극 관여 의지
김정은도 '中역할론'으로 주거니 받거니…시진핑, 美에 북한카드 '흔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20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 북한이 고심하는 안보와 경제 문제와 관련해 '힘껏' 도움을 주겠다는 입장을 천명했다.시 주석이 공개적으로 북한의 '든든한 후원자'를 자처한 모양새다.

외교가에서는 각각 사정은 다르지만 미국으로부터 공히 압박을 받고 있는 중국과 북한 두 나라의 전략적 밀월이 최고조에 달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 주석은 이날 평양 '금수산 초대소'에서 열린 북중 정상회담에서 김 위원장에게 "중국은 조선(북한)이 자신의 합리적 안보 및 발전에 관한 관심사를 해결할 수 있도록 힘이 닿는 한 도움을 주겠다"고 말했다.이번 발언은 중국이 미국과 비핵화 협상에서 체제 보장 및 경제 발전을 위한 제재 완화를 줄기차게 요구해온 북한의 입장에 대한 우회적 지지 의사를 피력한 것으로 받아들여 진다.

그간 미국과 북한 간 비핵화 협상은 북한이 주장하는 '단계적·동시 행동 원칙'과 미국이 선호하는 '선 비핵화, 후 보상' 원칙 사이에서 접점을 찾지 못하면서 두 차례 정상 회동에도 결정적인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인내심'을 갖고 미국과 비핵화 협상에 나서겠다는 뜻을 시사했다.김 위원장으로서는 향후 열릴 수 있는 미국과 협상에 중국의 지지를 바탕으로 한층 자신감 있게 나설 수 있게 됐다.

베이징의 한 소식통은 중국 정부가 과거에 밝혔던 것보다 진전된 표현에 주목했다.

그는 "힘이 닿는 한 도움을 주겠다"고 한 부분에 주목했다.북한의 관심사 해결은 중국의 원칙적 입장이지만 이번 발언은 진전된 표현으로 보인다고 했다.

아울러 북한이 추진하는 장기적인 경제 발전 문제와 관련해 북중 정상이 '의기투합'한 점도 눈길을 끈다.

김 위원장은 시 주석에게 중국의 경제 발전과 민생 개선의 경험을 배우고 싶다는 뜻을 피력했고, 시 주석은 북한의 발전 문제를 '힘껏' 돕겠다고 화답했다.

북한은 작년 4월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핵·경제 병진 노선을 폐기하고 경제 건설에 총력을 집중한다는 새 전략 노선을 채택했다.

북핵 문제가 진전돼 국제사회의 제재가 완화되기 전에 대규모 북중 경협을 추진하는 것은 어렵다.

하지만 중국은 쌀, 비료 등의 인도적 지원에서부터 관광객 송출, 북한 인력 개발, 위생 개선 등 다양한 분야에 이르기까지 '합법적' 선에서도 유의미한 도움을 줄 수 있다.

시 주석은 이날 김 위원장에게 우선 경제·민생 분야의 간부 교육 및 인적 교류를 대폭 강화하자고 제안했다.

그간 국제사회에서는 중국이 이미 국제사회의 제재가 대폭 완화되는 시기를 대비해 북한과 접경 지역의 인프라를 개선하는 등 북한과의 경제 협력을 위한 철저한 준비를 하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실제로 이날 시 주석의 수행단에는 허리펑(何立峰)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 주임, 중산(鍾山) 상무부장 등 경제 분야 각료들도 포함됐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국제사회의 제재로 중국에 대한 북한의 의존도는 더욱 커졌다"며 "허리펑이 시 주석을 수행한 것은 양국 정상의 의제에 경제 협력이 포함되리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외견적으로는 시 주석이 북한에 다양한 선물을 안긴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중국 역시 북미 '직거래' 구조 속에서 약해졌던 한반도 영향력을 회복한다는 측면에서 북중 밀월 가속화를 통해 작지 않은 전략적인 성과를 거뒀다고 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시 주석은 김 위원장에게 "조선 및 관련국들과 협력을 강화해 반도 비핵화 실현과 지역의 장기 안정에서 적극적이고 건설적 역할을 하겠다"면서 한반도 질서 재편 과정에 중국이 적극적으로 관여하겠다는 의지를 숨기지 않았다.

이에 김 위원장은 "계속 중국과 소통하고 협력해서 한반도 문제를 정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에서 새 진전을 거두고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하면서 '중국 역할론'에 적극적으로 화답했다.

중국은 공식적으로는 부인하지만 중국의 대북 영향력 확대는 무역·군사·외교 등 전방위적으로 중국을 거세게 밀어붙이고 있는 미국에 내밀 수 있는 카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된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내년 재선 도전을 앞두고 북핵 문제 해결에 여전히 큰 의지를 보여 대북 제재 집행의 전선 격인 중국의 협조가 여전히 필요한 상황이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