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진 "사라지는 전통 일자리, 혁신기업에 책임 물을 일인가"

네이버 창업자인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사진=연합뉴스)
"트랙터를 개발한 기업에 농사 일자리가 없어졌다고 그 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요?"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겸 글로벌투자책임자(GIO·사진)가 5년 만에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는 "혁신 기업에 대한 규제는 변화하는 시대 흐름을 역행하는 것"이라며 "4차 산업, 인터넷 기업은 국경이 없는 만큼 규제를 바라보는 시각도 반드시 글로벌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이 GIO는 18일 서울 중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디지털 G2 시대, 우리의 선택과 미래 경쟁력' 심포지엄의 대담자로 나섰다. '한국 인터넷 산업의 선구자에게 듣는다-네이버 창업과 성장의 경험' 주제로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이사장 김도현 국민대 교수와 대담했다.

이 GIO의 별명은 '은둔형 경영자'. 공개석상에 좀처럼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4년 6월 중소기업중앙회가 제주도에서 주최한 리더스포럼 이후 5년 만에 이날 대중 앞에 선 것이다.

"네이버가 생긴 지 20년이 지났다. 인터넷 환경이 워낙 빨리 바뀌고 생각도 변화하는 만큼 강연에 나서는 것이 조심스러웠다"고 운을 뗀 그는 "우리 언어에 기반한 검색 엔진이 활성화돼야 한다는 엔지니어적 사명감으로 네이버를 만들었다. 데이터 주권을 지켰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고 우리 손으로 만든 데이터 인프라를 잘 지켜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네이버 시장 독점을 우려하는 시선과 뒤따르는 규제에는 짙은 아쉬움을 나타냈다.

이 GIO는 "인터넷, 4차 산업은 국경 없는 산업이다. 글로벌해지지 않으면 경쟁 자체가 어렵다"면서 "유럽이나 중국은 규모의 경제로 연구개발(R&D)에만 수조원을 쏟아 붓는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큰 회사가 나오면 규제를 해야 하고, 기업이 성장하는 게 부도덕하다고 본다"고 토로했다.

이어 "글로벌 규모를 놓고 기업을 봐야지, 우리나라만 따로 떨어트려놓고 봐선 안 된다"고도 했다. 규제 역시 글로벌 시각에서 산업 특성에 맞춰 접근해야 한다는 주문이다.그는 "회사 입장에선 기술력이 뒤저지지 않도록 혁신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다. 혁신과 기술 개발에 따른 일자리 문제를 회사의 책임으로만 떠넘기면 안 된다"고 힘줘 말했다.

대신 기업의 지배구조 투명성은 필요하다고 했다. 이 GIO는 "기업은 결국 사업을 잘해야 하지만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은 회사를 투명하게 운영하는 일이다. 책임지고 할 수 있는 영역"이라며 "회사가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하고 있고 전세계 어디에 내놔도 부끄럽지 않다는 자부심은 있다"고 말했다.

해외 시장 진출 계획도 밝혔다.이 GIO는 "미국과 중국이 전 세계 인터넷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는 점은 큰 문제라고 인식한다다"며 "우리는 유럽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탐색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또 "최근에는 유럽 시장도 스타트업이 활발해졌으며 미국 실리콘밸리보다 유럽에 투자하는 규모가 커질 정도로 시장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심도 있는 고민이 필요한 시기"라고 전했다.

김은지 한경닷컴 기자 eunin11@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