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광주 군 공항 이전 후보지, 단체장과 협의 후 결정"

국회 토론회서 밝혀…"객관적 정보 제공 위해 설명자료 배포·설명회 개최"
광주 군 공항 이전사업이 이전 후보지 주민들의 반발로 표류 중인 가운데 국방부가 해당 지역 단체장과 협의해 결정하겠다고 밝혔다.한현수 국방부 군공항이전사업단장은 4일 국회에서 열린 '광주 군 공항 예비 이전 후보지 선정 정책 토론회'에서 배포한 발제문을 통해 "관계 지자체와 협조해 우호적인 협의 여건을 조성하고 후보 지역 단체장과 공식적인 협의 후 예비 이전 후보지를 선정하겠다"고 설명했다.

한 단장은 "이전 후보 지역인 무안, 해남 등에서는 공항 이전을 반대하고 있다"며 "오해 확산을 방지하고 객관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자료를 배포하고 필요하면 (해당 지역에서) 설명회 개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지자체, 주민과 충분한 협의를 거쳐 특별법 절차에 따라 공정하고 투명하게 사업을 추진하겠다"며 "부지 선정 기준과 원칙을 정부와 지자체 등과 협의해 정하고 주민투표 등을 통해 지자체와 주민들의 의사에 따라 이전 부지를 선정하겠다"고 기본방향을 설명했다.류일영 국방부 군공항이전사업단 자문위원은 "군 공항이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한 적도 있지만, 주변이 도시화하면서 소음피해가 급증해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이전 외에는 별다른 해결 방법이 없다"며 "이전이 늦어질수록 피해 비용이 많이 늘어나 국가 재정에 부담이 되는 만큼 이전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류 위원은 "이전 사유를 상세히 알지 못하면 비행 안전구역과 군사시설 보호구역 설정에 따른 재산권 침해, 소음피해, 환경 파괴에 대한 우려가 당연하다"며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과 홍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광주 지역 국회의원과 시민사회단체는 군 공항 이전 예비 이전 후보지의 조속한 선정을 촉구했다.국방부가 최근 군 공항 이전 후보지로 추천된 무안·영암·해남·신안 등 4곳을 대상으로 설명회 관련 의견을 수렴했지만, 모두 반대 입장을 밝혀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