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등 기대했는데"…미·중 갈등에 다시 내려앉은 한국 수출

반도체·중국 수출 하락폭, 올해 들어 최대…무역흑자 '반토막'
차세대 수출품목 육성 등 정부 '총력대응'
회복의 기미를 보이던 한국 수출이 다시 내려앉았다.미국과 중국 간 무역분쟁이 심화하면서 한국 수출 또한 직간접적인 영향권에 들었기 때문이다.

수출 부진에 88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가던 무역수지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5월 수출액은 459억1천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9.4% 감소했다.이로써 한국 수출은 지난해 12월 이후 6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이어갔다.

수출 증감률은 지난해 12월 1.7%에서 올해 1월 -6.2%로 감소세로 돌아섰고, 2월 -11.4%로 감소율이 높아졌다.

이후 3월 -8.3%, 4월 -2.0%로 다시 줄어드는 흐름을 보였다.이에 수출이 반등세를 타면서 조만간 플러스(+)로 돌아서는 것이 아니냐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나왔지만, 지난달 두 자릿수에 가까운 하락 폭을 보였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한국 수출 감소세가 지난 2월부터 개선되고 있었으나 최근 미·중 무역분쟁의 심화, 브렉시트 등 대외여건의 불확실성 확대가 수출 개선 흐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미·중 무역분쟁은 세계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경제성장률을 기존보다 0.2%포인트 내린 3.3%로 제시하면서 미·중 무역분쟁이 심화할 경우 0.3%포인트가 더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미국의 잇따른 대(對)중국 관세부과로 한국 수출이 총 0.14% 이상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한국은 중국을 통한 우회수출 비중이 2014년 기준 대만(31.8%) 다음으로 큰 24.9%에 이른다.

이중 미국 최종 수요를 겨냥한 우회수출 비중 역시 대만(6.5%) 다음으로 높은 5.0%다.

지난달 한국의 대중 수출은 미·중 무역분쟁, 중국 기업 대한 제재 등 대외 통상여건 악화, 현지 제조업 경기 부진, 중국의 세계 교역 하락 등의 영향으로 20.1% 감소했다.

지난 11월 이후 7개월 연속 하락세이자 올해 들어 최대 하락 폭이다.
지난해 한국 수출을 이끌었던 반도체의 하락도 만만치 않다.

반도체 수출은 지난해 12월 -8.4% 하락한 이후 6개월 연속 하향곡선을 그렸다.

지난 2월 -24.8%를 바닥으로 3월 -16.7%, 4월 -13.7%로 다소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지난달 30.5% 감소하며 하락세를 시작한 이후 가장 큰 감소율을 기록했다.

산업부는 반도체 단가 하락세 지속,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의 데이터센터 재고조정, 스마트폰 수요 정체, 지난해 최대 호황에 따른 기저효과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D램(8Gb) 가격은 3.8달러로 전년 대비 57.3%, 낸드(128Gb) 가격은 5.1달러로 24.6% 감소했다.

중국과 반도체의 부진 속에 수출 감소율이 높아지면서 무역수지 흑자 규모가 지난 1월 이후 4개월 만에 최저로 떨어졌다.

지난해 9월 96억2천만달러에 달했던 무역수지 흑자는 10월 63억8천만달러, 11월 46억7천만달러, 12월 41억8천만달러로 내림세를 보이다가 지난 1월 11억4천만달러까지 축소됐다.

이후 2월 29억6천만달러, 3월 51억3천만달러, 4월 40억달러로 개선됐으나 지난달 22억7천만달러로 다시 주저앉았다.

산업부 관계자는 "무역수지의 경우 1월에 다소 위험했으나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으며 앞으로도 크게 우려할 만한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국 수출이 좀처럼 플러스로 올라서지 못하자 차세대 수출품목을 서둘러 육성하는 등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지난 3월 수출활력 제고 대책을 발표하면서 바이오·헬스, 이차전지 등 반도체의 뒤를 이을 스타 플레이어를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4월 30일 시스템반도체 비전 선포식에 이어 지난달 22일에는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 선포식에 참석해 이들 품목을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키우겠다는 의지를 천명했다.

성윤모 장관은 "품목 다변화, 시장 다각화, 수출 주체 다양화, 디지털 무역 인프라 구축 등 수출구조 4대 혁신 대책을 연말까지 차례로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달 중 소비재 수출 활성화 방안과 디지털 무역 대책, 다음 달까지 수출시장구조 혁신 대책과 창업기업 수출지원 방안, 오는 9월 서비스산업 해외 진출 방안 등을 잇달아 내놓을 예정이다.성 장관은 "대외 수출여건이 녹록지 않지만, 반도체 단가회복과 유가 안정화, 중국 경기부양책, 수출활력 제고 대책 효과 등 기회 요인이 있기 때문에 하반기는 상반기보다 나을 것"이라며 "하반기 수출 모멘텀 조기 전환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핫이슈